반도체 클러스터 낙수효과 본격화… "늘어나는 재정, 시민 위해 재투자 할 것"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지난 21일 ‘2025 제8기 용인특례시 핵심리더과정’ 특강을 마친 후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용인특례시)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지난 21일 ‘2025 제8기 용인특례시 핵심리더과정’ 특강을 마친 후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용인특례시)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용인에서 진행되는 반도체 관련 투자 규모가 1000조 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청사진을 제시하며, 단일 도시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조성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용인특례시는 이상일 시장이 지난 21일 명지대학교 창조관에서 열린 ‘2025 제8기 용인특례시 핵심리더과정’ 특강에 나서 6급 공무원 27명을 대상으로 ‘용인의 미래 도시 비전’을 주제로 강연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날 이 시장은 용인의 대변혁을 이끌 핵심 동력으로 반도체 클러스터의 확장성을 꼽았다.

이 시장은 "SK하이닉스가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 투자 규모를 당초 122조 원에서 600조 원으로 대폭 늘리기로 결정했다"며 "여기에 삼성전자가 이동·남사읍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에 360조 원, 기흥 캠퍼스에 20조 원을 투자하고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들의 투자까지 합치면 총 투자 규모는 1000조 원에 달한다"고 강조했다.

낙수효과도 이미 가시화되고 있다. 이 시장은 "SK하이닉스 1기 팹(Fab) 건설이 진행되는 2027년 봄까지 용인 지역 자재와 장비, 인력 등 약 4500억 원 규모의 자원이 투입된다"면서 "2년간 연인원 300만 명이 동원되며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규모 산업 단지 조성에 따른 교통 인프라 확충 계획도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이 시장은 "반도체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선 교통망 확충이 필수"라며 ▲중부권광역급행철도(JTX) 민자 적격성 조사 진행 ▲경기남부광역철도(용인~성남~수원~화성) 신설 추진 ▲세종포천고속도로 남용인IC 개통(12월 예정) 및 동용인IC 신설 승인 ▲반도체고속도로 민자 적격성 조사 통과 등 굵직한 성과들을 공유했다.

특히 규제 혁파 사례로 45년 숙원이었던 송탄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꼽으며 "국가산단 유치와 연계해 규제 해제의 당위성을 설득한 결과, 방대한 토지를 시의 미래 발전을 위해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 밖에도 이 시장은 ▲플랫폼시티 내 MICE 산업 육성 및 5만 5천여 개 일자리 창출 ▲경부지하고속도로와 연계한 교통 개선 ▲포은아트홀 리모델링 및 장애인 체육시설 확충 등 문화·복지 인프라 강화 방안도 함께 설명했다.

이상일 시장은 "반도체 생태계가 완성되면 시의 재정 여력이 크게 확충될 것"이라며 "이를 바탕으로 처인·기흥·수지구 곳곳에 시민을 위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