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RP 현물 ETF 출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커뮤니티 내 한 저명 분석가가 “ETF 유입만으로는 XRP가 세 자릿수 가격에 도달할 수 없다”고 주장해 논쟁에 불을 지폈다.
강세 전망이 지배하는 분위기 속에서 나온 반대 의견이라는 점에서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같은 전망을 제기한 인물은 XRP 커뮤니티에서 영향력을 가진 시장 평론가 문이다.
그는 21일(현지시간) 공개한 분석에서 “ETF는 분명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면서도 “그러나 ETF 자금만으로 XRP가 100달러를 돌파하는 ‘세 자리수’ 구간에 도달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선을 그었다.
문은 XRP 가격 상승을 좌우하는 요소를 ▲수요 증가 ▲거시 환경 ▲유동성 구조 ▲제도적 승인 ▲리플 생태계 확장성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규정하며, “ETF는 상승 요인의 한 축일 뿐”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ETF가 단기적으로 수십억 달러의 유입을 가져올 수 있지만, XRP의 시가총액을 세 자리수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면 훨씬 더 구조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커뮤니티에서는 첫 XRP ETF 출시를 앞두고 “첫 달에만 억 단위의 자금이 들어올 것”이라는 기대가 퍼지며 강한 상승 전망이 이어졌다. 일부 분석가들은 ‘XRP 100달러’, ‘ETF 시대의 슈퍼 사이클’과 같은 과감한 시나리오를 언급하기도 했다. 그러나 Moon은 이러한 낙관적 전망에 대해 조심스러운 태도를 유지해야 한다고 경고한 것이다.
그는 “ETF가 가져오는 최대 장점은 기관 참여 확대와 시장 신뢰 회복”이라며 “하지만 가격이 세 자리수로 오르기 위해 필요한 시가총액은 상상 이상으로 크며, 단순 자금 유입만으로는 현실적으로 달성하기 어렵다”고 언급했다. 이는 최근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ETF가 시장에 미친 영향과는 스케일이 다르다는 분석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그의 지적이 지나치게 보수적이라는 평가와 현실적이라는 의견으로 나뉜다.
해외 디지털자산 리서치센터 관계자는 “ETF는 초기 유입이 크지만 시간이 지나면 안정되는 구조를 가진다”며 “XRP가 구조적 가격 재평가를 위해선 리플의 글로벌 결제 생태계 확장, 기업 파트너십, 실제 상업적 사용 증가가 병행돼야 한다는 점에서 Moon의 발언이 의미 있다”고 말했다.
반면 다른 전문가는 “ETF가 열어줄 잠재력은 초기 커뮤니티 예상보다 훨씬 클 수 있다”며 “기관 자금은 예상보다 공격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있다”고 반박했다. ETF 초기 유입 규모에 따라 당시 시나리오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Moon의 발언이 불붙은 강세 여론에 균형을 제공하며, XRP 투자자들로 하여금 지나친 기대 대신 현실적 관점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ETF가 XRP 시장에 가져올 변화는 분명 크지만, 가격 상승의 전부는 아니라는 그의 메시지는 결국 성장의 ‘속도’와 ‘범위’를 구분하라는 조언에 가깝다.
*이 기사는 참고용입니다. 투자손실에 법적 책임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