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비상장주식 거래 플랫폼의 혁신금융서비스를 2년 더 연장할 전망이다. 사진=핀포인트뉴스DB
금융당국이 비상장주식 거래 플랫폼의 혁신금융서비스를 2년 더 연장할 전망이다. 사진=핀포인트뉴스DB

 

외국인 투자자들이 20일 유가증권시장에서 대규모 매수세를 보이며 시장 방향성을 사실상 결정지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에만 5317억 원을 쏟아부으며 단일 종목 기준 압도적 순매수를 기록했다. 외국인의 투자 패턴은 반도체 중심의 대형주 선호와 더불어 조선·전력·관광·화장품 등 업종 전반으로 확산되는 모습도 뚜렷했다.

눈에 띄는 종목은 단연 삼성전자다. 외국인은 이날 삼성전자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며 글로벌 반도체 수요 회복 기대감을 재확인했다. 같은 반도체 대표주지만 SK하이닉스는 이날 1326억 원 규모의 순매도가 집중되며 극명한 대비를 보였다. 기술 업종 내에서 기업별 실적 기대치가 갈리는 흐름이 시장에 그대로 반영된 셈이다.

전력 및 인프라 관련 종목에서는 한국전력이 532억 원의 순매수를 기록하며 강한 매수 우위를 보였다. 최근 요금 정상화 논의와 글로벌 에너지 가격 안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인프라·전력 솔루션 업체인 LS ELECTRIC도 순매수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외국인의 관심이 이어졌다.

IT·부품 분야에서는 이수페타시스가 362억 원 순매수를 기록하며 기술주 내 소형주 상승세를 주도했다. SK스퀘어, POSCO홀딩스, 에이피알, 삼성물산 등도 외국인의 꾸준한 매수가 들어온 종목으로 집계됐다.

한편 방산 업종에서도 외국인의 관심이 두드러졌다. 현대로템과 한화오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HD한국조선해양 등 주요 방산·조선 기업들이 순매수 상위에 다수 포진했다. 글로벌 지정학적 긴장 속에서 방산 수주 모멘텀이 이어지고 있는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조선 분야에서는 HD현대일렉트릭 역시 매수세가 몰렸다.

소비·서비스 업종에서도 이례적인 움직임이 나타났다.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등 화장품 대형주가 동시에 순매수 상위권에 오르며 중국 소비 회복 기대가 다시 살아나는 분위기다.

롯데관광개발 역시 외국인 유입세가 두드러져 관광·레저 업종 전반의 반등 기대를 키웠다.

제약·바이오 분야에서는 일동제약, 파미셀 등 중형 바이오주들이 매수세를 확인했다. 상승 모멘텀 이동 과정에서 특정 업종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한 분야로 외국인 매수세가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순매도 상위 종목을 살펴보면, 대형 제조·금융주가 대거 포진해 대조적인 흐름을 보였다. 현대차, 삼성전기, 삼성전자우, 기아, 현대차우, 현대차2우B, 현대모비스 등 자동차·전기차 관련주들의 매도세가 도드라졌다. 외국인이 자동차 업종에서 이익 실현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금융주는 KB금융,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메리츠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등이 순매도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최근 금리 변동성 확대와 금융지주 배당 시즌을 앞둔 조정 가능성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기술·반도체 관련 소형주도 순매도 대상이 됐다. 한국항공우주, 대덕전자, 산일전기, 해성디에스, 한미반도체 등이 매도세를 맞았으며, 소비재 기업인 삼양식품, CJ 역시 차익 매물이 출회됐다.

이날 외국인의 투자 패턴은 기술 대형주 중심의 선택적 매수, 조선·방산·전력 등 경기 방어적 업종으로의 확산 투자, 자동차·금융 중심의 차익 실현이라는 세 가지 흐름으로 요약된다.

외국인 자금의 방향성은 향후 시장 주도 업종을 가늠하는 핵심 변수인 만큼, 투자자들은 각 종목별 수급 변화를 면밀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외국인은 삼성전자, 한국전력, 이수페타시스, 현대로템, LS ELECTRIC, SK스퀘어, POSCO홀딩스, 한화오션, 에이피알, 아모레퍼시픽, 롯데관광개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일동제약, 파미셀, LG생활건강, 삼성물산, HD현대일렉트릭, LIG넥스원, HD한국조선해양, 현대모비스 등을 강하게 매수하며 업종 전반에 걸친 분산 투자를 이어갔다.

SK하이닉스, 현대차, 삼성전기, 삼성전자우, KB금융, 삼양식품, 한국항공우주, 대덕전자, 두산에너빌리티, 신한지주, 산일전기, 현대차2우B, 하나금융지주, 기아, 미래에셋증권, CJ, 메리츠금융지주, 현대차우, 해성디에스, 한미반도체 등 주요 종목들이 차익 매도 대상이 됐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