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제주 신화월드에서 열린 '2025 두산연강환경학술상' 시상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강석태 대한환경공학회 회장, 수상자인 이창하 서울대 교수와 조강우 포항공과대 교수, 이원재 두산연강재단 대표이사) 사진= 두산연강재단.
지난 19일 제주 신화월드에서 열린 '2025 두산연강환경학술상' 시상식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강석태 대한환경공학회 회장, 수상자인 이창하 서울대 교수와 조강우 포항공과대 교수, 이원재 두산연강재단 대표이사) 사진= 두산연강재단.

20일 두산연강재단에 따르면, 재단은 전날 제주 신화월드에서 열린 대한환경공학회 학술대회에서 이창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조강우 포항공과대 환경공학부 교수에게 두산연강환경학술상을 수여했다.

재단은 이 교수에게 3000만원, 조 교수에게 1000만원의 상금과 상패를 각각 수여했다고 전했다.

이 교수는 오염물질을 빠르게 산화할 수 있는 금속 이온인 '고원자가 금속 화학종'의 반응 원리를 규명해 오염물질을 골라내 분해하는 '타깃형 수처리 기술' 개발의 가능성을 연 공로를 인정받았다고 재단은 설명했다.

조 교수는 극소량의 귀금속이 함유된 산화 전극으로 폐수를 전기 분해해 수질을 정화하고 수소 발생 효율을 향상하는 방법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산연강환경학술상은 두산연강재단이 지난 1993년∼2017년 25년간 진행한 환경안전 연구비 지원사업의 연장선상에서 2019년 제정됐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