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서 실시한  대한민국 도시 브랜드평판 2025년 11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 경주시 2위 서울시 3위 부산시 순으로 분석됐다.

10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의 도시 브랜드 빅데이터 60,052,037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습관과 평판을 분석했다. 지난 10월 도시 브랜드 빅데이터 59,303,855개와 비교하면 1.26%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6.68% 상승, 브랜드이슈 9.73% 상승, 브랜드소통 2.07% 상승, 브랜드확산 5.05%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대한민국 도시에 대해 브랜드 평판조사를 했다. 대한민국 도시 브랜드에 대한 지난 한달간 빅데이터 평판을 분석했는데 도시 브랜드 빅데이터 60,052,037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습관과 평판을 분석했다. 지난 10월 도시 브랜드 빅데이터 59,303,855개와 비교하면 1.26% 증가했다.

도시 브랜드는 대한민국의 시(市)에 대한 브랜드를 분석한 것으로, 1949년 8월 15일 19개의 부(府)를 일괄 개칭하여 탄생됐다. 다음의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광역자치단체인 특별시, 기초자치단체인 시, 특별자치도의 하부 행정 구역으로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행정시가 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대한민국 도시 브랜드평판지수는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도시 브랜드평판 분석에는 거버넌스(governance) 분석을 가중치로 포함했다. 거버넌스(governance)는 일방적인 정부 주도적 경향에서 벗어나 정부, 기업, 비정부기구 등 다양한 행위자가 공동의 관심사에 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말한다.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으로 측정된다.

11월 대한민국 도시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경주시, 서울시, 부산시, 대전시, 인천시, 제주시, 수원시, 대구시, 용인시, 고양시, 천안시, 청주시, 파주시, 전주시, 남양주시, 창원시, 광주시, 시흥시, 김포시, 평택시, 화성시, 안양시, 김해시, 양주시, 하남시, 서귀포시, 구미시, 안산시, 부천시, 양산시 순으로 분석됐다.

도시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경주시 브랜드는 참여지수 1,102,463 미디어지수 2,177,180 소통지수 1,266,851 커뮤니티지수 2,281,179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6,827,673으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776,341과 비교해보면 779.47% 상승했다.

2위, 서울시 브랜드는 참여지수 226,085 미디어지수 594,911 소통지수 941,572 커뮤니티지수 1,941,52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704,089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5,716,878과 비교해보면 35.21% 하락했다.

3위, 부산시 브랜드는 참여지수 161,372 미디어지수 366,877 소통지수 1,029,816 커뮤니티지수 1,530,140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088,205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2,172,231과 비교해보면 42.17% 상승했다.

4위, 대전시 브랜드는 참여지수 87,295 미디어지수 269,261 소통지수 605,058 커뮤니티지수 1,043,27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004,890으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1,836,408과 비교해보면 9.17% 상승했다.

5위, 인천시 브랜드는 참여지수 54,875 미디어지수 454,495 소통지수 429,786 커뮤니티지수 931,99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871,149로 분석됐다. 지난 10월 브랜드평판지수 2,257,971과 비교해보면 17.13% 하락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도시 브랜드평판 11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경주시 ( 시장 주낙영 )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도시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10월 도시 브랜드 빅데이터 59,303,855개와 비교하면 1.26%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6.68% 상승, 브랜드이슈 9.73% 상승, 브랜드소통 2.07% 상승, 브랜드확산 5.05% 하락했다."라고 평판 분석했다.

11월 대한민국 도시 브랜드평판 분석 순위는 경주시, 서울시, 부산시, 대전시, 인천시, 제주시, 수원시, 대구시, 용인시, 고양시, 천안시, 청주시, 파주시, 전주시, 남양주시, 창원시, 광주시, 시흥시, 김포시, 평택시, 화성시, 안양시, 김해시, 양주시, 하남시, 서귀포시, 구미시, 안산시, 부천시, 양산시, 세종시, 아산시, 성남시, 의정부시, 원주시, 춘천시, 여수시, 강릉시, 공주시, 울산시, 구리시, 진주시, 순천시, 이천시, 충주시, 오산시, 포천시, 안동시, 경기 광주시, 군산시, 안성시, 과천시, 의왕시, 익산시, 동해시, 군포시, 거제시, 경산시, 서산시, 상주시, 여주시, 목포시, 광명시, 나주시, 김천시, 영주시, 당진시, 사천시, 보령시, 광양시, 제천시, 통영시, 밀양시, 속초시, 남원시, 영천시, 문경시, 김제시, 정읍시, 논산시, 동두천시, 계룡시, 삼척시, 태백시, 포항시 순이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