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 안전 기준 부적합 판정을 받은 해외직구 제품들. 사진=과기정통부
전파 안전 기준 부적합 판정을 받은 해외직구 제품들. 사진=과기정통부

해외 직구로 유입되는 저가 정보통신기술(ICT) 제품 상당수가 전파 안전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알리익스프레스·테무·아마존 등 해외 쇼핑 사이트에서 소비자 직접 구매(직구) 국내에 들어오는 제품 29종의 전파 안정성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7종이 기준에 맞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은 헤어드라이어, 전기드릴, 휴대용 선풍기, 목걸이형 선풍기, 스탠드형 선풍기, 무선 마이크, CCTV 등이다. 국내에 이름이 알려진 해외 유명 제조사의 물품은 포함되지 않았다.

현재 해외직구 제품 중 개인 사용 목적 물품은 KC 전파 인증을 받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가성비를 앞세운 저가 제품 상당수가 안전성 검증 없이 국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부적합 판정을 받은 제품들은 제조사나 제품명조차 제대로 표기돼 있지 않는 등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었다"며 "저가 상품에 현혹되기보다 국내 인증을 받은 상품을 제값에 구매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한편 부적합 제품 정보는 국립전파연구원과 소비자24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