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만에 1조2722억 지급…국민지원금 첫날보다 40% 많아
중고거래에 등장한 쿠폰…정부 “부정유통 시 환수·제재”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첫 날 하루 만에 전체 대상자의 13.8%에 달하는 국민이 신청을 완료했다. 신청 규모는 과거 국민지원금 첫날보다 약 40% 많은 수준이다.
22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21일 하루 동안 신청을 완료한 인원은 697만5642명으로 이들에게 지급된 총액은 1조2722억원에 이른다.
이번 소비쿠폰의 1인당 지급액은 최소 15만원으로, 차상위계층이나 기초수급자의 경우 최대 55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지급 방식은 신용·체크카드가 534만 으로 전체의 76%를 차지했다. 지역사랑상품권은 모바일·카드형이 99만 명, 지류형이 약 11만명이었다. 선불카드는 52만명이 선택했다.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지급 대상자 1357만명 중 11.8%인 134만3821명이 첫날 신청을 완료했다. 이들에게 지급된 금액은 2584억원이다. 신청자의 70%가 신용카드를 선택했고, 지역화폐와 선불카드가 뒤를 이었다.
경기도 내에서는 수원시가 12만 건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고양·용인 순으로 신청이 집중됐다.
이번 소비쿠폰 1차 신청은 9월 12일까지 진행된다. 이후 2차 신청은 9월 말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정부는 향후 소비쿠폰 활용 실적과 지역별 소비 흐름 등을 종합 분석해 정례적 지원 방안으로 확대할 가능성도 검토 중이다.
이날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민생쿠폰 지급의 목적은 단순한 소득 보전이 아닌 소비 회복에 있다"고 밝히며, 각 부처에 소비 진작 후속 프로그램 마련을 지시했다.
또한 “디지털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계층이 지원에서 누락되지 않도록 행정력을 총동원하라”고 강조했다.
물가 자극 우려에 대해서는 "쿠폰이 없을 때도 물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다"며 현장 대응과 단속을 병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일부 시민이 소비쿠폰을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현금화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됐다. 당근·중고나라 등에서 '민생 소비쿠폰 판매' 등의 게시물이 확인됐다.
주소지와 생활권이 달라 사용이 어렵다는 이유를 들며 액면가보다 낮은 가격에 선불카드를 판매하는 사례도 있었다.
소비쿠폰은 부정 유통 적발 시 지원금 환수, 제재부가금, 보조금 지급 제한 조치가 이뤄질 수 있다. 일부 사례는 여신전문금융업법 위반으로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다.
행안부는 "소비쿠폰이 본래 목적대로 사용돼야 하며, 부정유통은 철저히 단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