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MW급 설비 구축...연간 3000톤 90% 이상 효율로 포집 가능"

(사진 왼쪽 2번째부터) 안승대 울산광역시 행정부시장, 문일주 한전 기술혁신본부장이 29일 'LNG 발전용 이산화탄소 포집' 실증플랜트 현장 견학을 하고 있다. 사진=한전
(사진 왼쪽 2번째부터) 안승대 울산광역시 행정부시장, 문일주 한전 기술혁신본부장이 29일 'LNG 발전용 이산화탄소 포집' 실증플랜트 현장 견학을 하고 있다. 사진=한전

한국전력공사는 LNG(액화석유가스)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실증설비를 준공했다고 29일 밝혔다. 

한전은 이날 울산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서 'LNG 발전 1MW(메가와트) 습식 CO₂ 포집 플랜트'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 설비는 연간 약 3000톤의 이산화탄소를 90% 이상의 효율로 포집할 수 있는 규모로 구축됐다. 해당 기술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 아래 한전을 비롯한 5개 발전사와 대학, 민간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해 개발했다.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은 발전소 배출가스 중 이산화탄소만을 선택적으로 포집해 제거하는 기술이다. 한전은 기존 석탄화력 대비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은 LNG 발전의 특성을 고려해, 맞춤형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개발해 포집 효율과 경제성을 개선했다. 해당 기술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 아래, 한전을 비롯한 발전사와 대학, 민간기업이 공동으로 참여해 개발했다.

한전은 흡수제 개발과 공정 설계를 담당했으며, 한국전력기술은 플랜트 기본설계, 현대중공업파워시스템은 설계·조달·시공(EPC)을 맡았다. 향후 한전은 이를 바탕으로 연간 50만톤 수준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상용 플랜트 기본설계도 확보할 계획이다.

해당 설비는 지난해 11월부터 시운전에 돌입했으며, 현재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압축·액화 운전 시험을 진행 중이다. 

문일주 한전 기술혁신본부장은 "이번 실증설비는 가스발전 온실가스 저감의 핵심 인프라로, 2050 탄소중립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한전이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