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증권.
네이버 증권.

 

농심 주가가 크게 오르고 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10.09% 올라 38만 75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주가는 박스권에서 벗어나 가속도를 내고 있다. 

라면 시장 부동의 1위인 농심 신라면 가격이 50원 오르면서 실적개선 기대감이 주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새우깡 가격은 100원 인상된다.

2023년 7월 정부의 가격 인하 압박에 신라면과 새우깡 가격을 내렸던 농심은 오는 17일부터 가격을 2023년 6월 수준으로 되돌린다고 6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신라면 가격은 소매점 기준 950원에서 1000원으로, 새우깡은 1400원에서 1500원으로 각각 오른다.

농심은 오는 17일부터 신라면과 새우깡을 포함해 라면과 스낵 브랜드 56개 중 17개 브랜드의 출고가를 평균 7.2% 인상한다. 이번 가격 인상은 2022년 9월 이후 2년 6개월 만이다.

신라면 외에 너구리 등의 가격도 오는 17일부터 오른다. 주요 제품 가격 인상률은 출고 가격 기준으로 신라면 5.3%, 너구리 4.4%, 안성탕면 5.4%, 짜파게티 8.3%, 새우깡 6.7%, 쫄병스낵 8.5% 등이다.

농심 관계자는 "그동안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원가 절감과 경영 효율화를 추진하며 인상 압박을 견뎌 왔지만, 원재료비와 환율이 상승함에 따라 가격조정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경영 여건이 더 악화하기 전에 시급하게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라면 원가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팜유와 전분류, 스프원료 등의 구매비용이 증가했고, 평균환율과 인건비 등 제반 비용 또한 상승했다는 것이 농심의 설명이다.

이런 상황에서 농심(별도기준)의 지난해 분기별 영업이익률은 계속 낮아져 지난해 4분기 1.7%에 그쳤다.

농심은 이번 인상에 따른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대형마트, 편의점, 온라인 등에서 주요 라면과 스낵 제품에 대한 할인과 증정 행사를 이어 나갈 계획이다.

이번 농심의 가격 인상 결정은 롯데웰푸드, SPC 파리바게뜨 등 식품 기업들이 원재료비와 환율 상승 등을 이유로 가격을 잇달아 올리는 가운데 나왔다.

농심은 2023년 추경호 당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제 곡물 가격 하락을 이유로 기업들에 라면 가격 인하를 권고한 이후 대표 제품인 신라면 가격을 인하한 바 있다.

당시 오뚜기는 스낵면, 참깨라면, 진짬뽕 등 라면류 15개 제품 가격을 평균 5% 인하했다. 삼양식품은 삼양라면, 짜짜로니 등 가격을 내렸다.

이번에 농심이 신라면과 너구리, 안성탕면, 짜파게티 등 라면 가격을 인상한 이후 다른 업체도 뒤따라 가격을 올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 업체 관계자는 "아직 라면 가격 인상 계획은 없다"면서도 "원가 부담이 커 가격 인상을 검토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농심이 속한 환율하락 수혜 관련주(네이버 증권)에는 포스코홀딩스 풍산 한탑 S-OIL 한국가스공사 동원F&B 하이트진로 삼양홀딩스 풍산 고려아연 오뚜기 대상 CJ제일제당 하나투어 모두투어 동국홀딩스 대한항공 농심 오리온 한국전력 대한제당 삼양홀딩스 대한해운 대상 현대제철 아시아나항공 한탑 대한제분 혜인 포스코홀딩스가 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