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래블월렛·신한은행 손잡고 환전·ATM ‘무료’
무료 수수료로 환테크족 잡고·선물하기로 ‘달러 유행’ 전략
달러 원툴·흥행 기반 수익 구조는 ‘해결 과제’

비교적 뒤늦게 환전시장에 뛰어든 카카오뱅크가 차별화 전략으로 달러 선물하기를 내세웠다. 25일 오보현 카카오뱅크 외환캠프 서비스오너가 새 서비스 달러박스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카카오뱅크]
비교적 뒤늦게 환전시장에 뛰어든 카카오뱅크가 차별화 전략으로 달러 선물하기를 내세웠다. 25일 오보현 카카오뱅크 외환캠프 서비스오너가 새 서비스 달러박스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카카오뱅크]

무료 환전 경쟁에 뒤늦게 합류한 카카오뱅크가 ‘달러’만 집중한 달러박스를 출시하고 환 투자·선물하기로 차별화 카드를 꺼냈다. 토스뱅크, 시중은행 등 타사 대비 환전 가능 통화 수가 현저히 적고 이용자 기반의 수익 구조가 역마진 우려를 불식시킬지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25일 ‘달러박스’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날부터 해당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토스뱅크와 시중은행 등 경쟁사들이 앞서 무료 환전 서비스를 시행하는 가운데 후발주자인 카카오뱅크는 ‘달러의 소셜화’를 차별화 전략으로 내세웠다.

상품 개발을 총괄한 오보현 카카오뱅크 외환 캠프 서비스오너(SO)는 “기존의 환전 서비스는 단순히 휴가철에 이용했다면, 달러박스는 달러를 모으고 선물하고 여행에 사용하는 일상 트렌드를 추구한다”라고 말했다.

달러박스는 달러를 통한 환테크와 달러 선물하기를 차별점으로 내세웠다. 환테크족을 겨냥해 ‘내 평균 환율과 한눈에 비교’ 기능을 제공하고 앱에 접속하지 않아도 내 평균 환율·현재 환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주안점을 둔 서비스는 ‘선물하기’다. 카카오톡 친구라면 누구에게나 달러 선물을 발송할 수 있다. 하루 최대 500달러, 한 달 최대 5000달러까지 메시지 카드 등을 통해 선물하고 주고받은 기록도 돌아볼 수 있다.

또 기존의 환전 서비스와 차별화 하기 위해 신한은행과 제휴해 ATM 달러 출금 수수료를 면제했다. 해외여행객을 겨냥해 트래블월렛과 제휴해 전 세계 70여 개 국가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카카오뱅크는 후발주자로 차별화를 꾀했다는 입장이지만, 사실상 환전시장에서 나올 수 있는 서비스는 포화에 가까운 상황이다. 사용가능한 통화는 달러에 국한되어 있는데다 수익 구조도 빈약해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지 의구심도 따른다.

이날 간담회에서 달러만 서비스 대상인 이유를 묻자, 오보현 SO는 “환전 특성상 달러는 필수통화로 이를 트렌드화하는데 주력했다”라며 “기존의 트래블카드, 외화통장으로는 환전시장을 뒤집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답했다.

또 상품 판매 흥행에만 의존하는 수익 구조로, 역마진 우려도 해결 과제다. 오보현 SO는 “수수료 무료로 달러박스 이용 고객을 늘리고, 고객이 늘수록 자산도 커지면서 이를 운용하는 구조”며 “달러박스가 흥행해야 수익을 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뱅크의 달러박스는 만 19세 이상 고객이라면 누구나 만들 수 있다. 최대한도는 1만 달러로 일 최대 입출금액은 각각 5000달러, 1만 달러다. 입금과 원화 출금 수수료는 면제된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