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SBI저축은행]
[이미지=SBI저축은행]

SBI저축은행이 RPA(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시스템 도입으로 연간 단순 업무 처리 시간을 5만1425시간 줄였다고 17일 밝혔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 4년 동안 약 20만 시간을 줄인 셈이다.

RPA는 반복적인 업무를 소프트웨어 로봇이 대신한다. 반복적이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순 업무를 기계가 대신하면서 직원은 업무 효율성을 증진할 수 있다.

현재 SBI저축은행의 RPA는 27개 팀과 전 지점에 도입돼 활용되고 있다. 시스템 적용 업무는 ▲대출 심사 지원 ▲지점 마감처리 지원 ▲대출 사후관리 지원 ▲의심 거래 보고(STR) ▲대외기관 공문 자동 접수 등 95개다.

SBI저축은행은 작년부터 OCR(광학문자인식) 기술과 접목해 시스템을 고도화했다. 등기우편의 발송 이력 조회, 수신 FAX 서류 자동 분류 업무 등 RPA와 여러 기술을 조합하여 고도화했다.

SBI저축은행 관계자는 “2020년 RPA 도입 이후 지속적인 고도화로 업무 적용 범위를 확대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했다”며 “생성형 AI, Chat GPT 등 최신 기술 도입을 통한 디지털 혁신을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