굽네·파파이스, 가격 올려…다른 업체도 뒤따를 가능성
외식·식품업계 "원가 압박 감내하지만 인상 불가피"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핀포인트뉴스 구변경] 4·10 총선이 끝난 가운데 외식, 식품 등 먹거리 물가 인상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그동안 정부의 물가안정 압박에 눈치를 보던 식품·외식업체들이 억눌렸던 제품 가격을 줄줄이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6일 프랜차이즈 업계에 따르면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는 전날 배달 수수료와 인건비, 임대료 상승을 이유로 들어 치킨 9개 제품 가격을 1900원씩 인상했다. 굽네가 가격 인상에 나선 것은 2022년 이후 2년 만이다.

이에 따라 대표 메뉴인 고추바사삭은 기존 1만8000원에서 1만9900원으로 올랐고, 오리지널은 1만6000원에서 1만7900원으로 인상됐다. 남해마늘바사삭은 1만9000원에서 2만900원으로 올랐다.

글로벌 치킨 브랜드 파파이스도 전날 치킨, 샌드위치(버거), 디저트류, 음료 등의 가격을 평균 4%(100∼800원) 인상했다.

배달 제품 가격은 더 비싸진다. 파파이스는 배달 메뉴에는 매장 판매가보다 평균 약 5% 높은 가격을 소비자에게 적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다른 외식기업이나 식품업체들도 도미노 가격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현재는 정부 압박에 내부적으로 손실을 감내하고 있지만, 원재료값 상승 등 가격 인상 요인이 충분해 언제까지 이를 흡수하는 것도 무리가 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최근 코코아, 설탕 등 식품 원료 가격은 작황이 부진해지면서 폭등한 상황이다. 카카오 열매 가루로 초콜릿의 원료로 쓰이는 코코아 선물가격도 1년 만에 3배로 급등해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선물시장에서 코코아는 최근 1개월간 49% 뛰어 t당 1만달러를 뚫고 1만50달러까지 치솟았다.

초콜릿 브랜드는 코코아 가격이 올라가자 제품 가격을 인상하거나 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가격은 그대로 두고 양을 줄이는 것)으로 버티고 있다.

고디바는 지난주 초콜릿 평균 가격을 10% 이내로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내에서도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 등이 초콜릿 제품 가격 인상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코코아 가격이 연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며 "회사가 현재까지 원가 압박을 감내하고 있지만 이런 상황이 지속된다면 가격 인상을 검토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동원F&B 등 일부 가공식품 업체들도 정부에 제품 가격 인상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15~30%가량 올려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대다수 원재료가 너무 올라 단기간엔 기업들이 손실을 감내하며 버틸 수 있지만 한계가 올 것"이라며 "결국 가격 인상이 진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