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편결제 현금 묶어두는 리워드 계속...예금자 보호 없는 선불 충전 논란

유사수신 논란에도 불구하고, 간편결제 업계가 계속해서 소비자들에게 선불금 충전을 유도하는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정작 예금자 보호는 없어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지난 4월부터 카카오, 토스 등 대형 간편결제사는 어플을 통해 일정 금액 이상을 적립하면, 포인트로 환산해주거나 이자를 붙여주는 리워드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핀테크 업체들은 수신행위 허가를 받은 곳이 아닌 만큼 예치된 현금들에 대한 소비자 보호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18일 일각에서는 정부 제동에도 불구하고 업계가 현금 충전을 유도하는 전략을 고수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앞서 지난 4월 29일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주요 핀테크 업체들에게 평균잔액을 기반으로 이자나 포인트를 줘 충전을 유도하는 마케팅을 자제하라고 전달했다”고 밝혔다. 소비자 예금 보호가 없기 때문.

특히 카카오페이와 토스는 지난해 말 기준 각각 약 1200억원, 500억원 대 규모의 충전금을 쌓았다. 이는 어지간한 소형 저축은행에 이르는 수준인데도 예금 보호 조치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부터 각 업계는 초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대책 없이 무리한 마케팅 전쟁을 펼치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가세했다.

실제로 카카오페이와 토스는 지난해 말 기준 각각 960억 원, 440억 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2017년보다 적자폭이 각각 253%, 14%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 측은 충전금은 예금 형식이 아니므로 소비자들이 보호대상에서 빠진다면서 카카오페이, 토스, 네이버 등 관련 업체들에게 고객의 충전금에 관한 새 정책을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지시에 따라 업계는 일부 리워드 정책을 수정했다. 카카오페이는 충전금 최대 50만원까지 1.7% 캐시백을 주는 리워드를 30일까지만 시행하고 중단했다. 토스 또한 100만원을 예금하면 연 최대 5만원을 포인트로 돌려주는 이벤트를 일정기간까지만 진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현금 충전을 유도하는 리워드는 두달이 훌쩍 넘긴 시점에도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지난 달부터 카카오페이는 '계획적인 페이생활' 이벤트를 진행해오며 이와유사한 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한 달간 사용할 카카오페이 머니를 미리 충전한 후 추가 출금 없이 카카오페이 서비스를 진행하면, 이용한 고객에게 최대 200만원까지 랜덤 리워드를 주는 프로모션이다.

카카오페이 측은 '계획적인 페이생활'로 이용 고객들이 한 달 동안 사용할 금액을 미리 정해놓고 사용함으로써 보다 알뜰한 소비생활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는 이용자들의 한 달 생활비 만큼을 카카오페이로 한 번에 선불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인 셈이라고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리워드를 받으려면, 한 달 기간 동안 3번 이상 출금하거나 연결된 자신의 계좌로도 송금해선 안 된다는 규칙을 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네이버페이 또한 아직 적립금 충전 혜택을 폐지하지 않고 있다. 네이버페이는 5만원 이상 충전하면 2% 즉시 포인트가 적립된다며 평균 잔액 이상의 선불금을 충전하도록 홍보하고 있다.

각 업계는 대표적인 수신행위인 예금의 금리와는 다른 방식으로 적립금을 지급하기 때문에 유사수신과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간편결제 리워드에 대해 한 전문가는 "간편결제 시장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커질 것으로 보인다"며 "소비자들의 예수금 보호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차혜린 기자 chadori95@gmail.com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