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29조4722억원 '사상 최대' 기록

[핀포인트뉴스 구변경 기자] 이마트가 지난해 영업손실 469억원을 기록해 적자로 돌아섰다.
14일 이마트가 공시를 통해 발표한 지난해 영업실적에 따르면 연결기준 지난해 매출은 29조472으로 전년 대비 0.5% 증가했으나 영업손실 469억원을 기록하며 적자로 전환됐다.
지난해 4분기만 보면 매출은 7조3561억원, 영업손실은 855억원을 기록했다.
이마트는 영업손실의 주요인은 신세계건설의 실적부진을 지목했다. 신세계건설은 공사 원가 상승,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분양실적 부진, 예상되는 미래 손실의 선반영으로 전년에 비해 1757억원이 늘어난 1878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이마트의 지난해 별도 기준 연간 총매출액은 16조5500억원, 영업이익은 1880억원이다. 지난해 4분기 총매출액은 4조625억원, 영업이익은 393억원이다.
G마켓은 지난해 4분기, 8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G마켓의 지속적인 수익성 개선 작업이 효과를 거두며 매 분기 적자폭이 줄었고, 연간 영업손실은 전년 655억원에서 절반 이하인 321억원으로 줄었다.
오프라인 주요 자회사들도 엔데믹 이후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스타벅스는 지속적인 신규점 출점 효과에 힘입어 전년 대비 174억 늘어난 1398억원의 영업이익을, 신세계푸드는 단체급식사업 수요 증가와 사업 효율성 향상으로 전년 대비 58억원 늘어난 264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조선호텔앤리조트는 투숙률 상승과 리테일사업 호조로 181억원 늘어난 403억원의 영업이익을, 신세계프라퍼티는 스타필드 주요 매장의 방문객 증가로 120억원 늘어난 16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한편 이마트는 올해 연결 기준 순매출을 전년 대비 2.8% 신장한 30조3000억원, 별도 기준 총매출을 전년 대비 1.5% 신장한 16조8000억으로 전망했다.
특히 창고형 할인점 트레이더스는 고물가 저성장 국면 장기화에 상품 혁신과 신규점 출점으로 실적 반등을 보이며 지난해 대비 7.3% 늘어난 3조6600억원의 총매출 계획을 세웠다.
이마트는 '독보적 가격리더십'과 '고객 경험 극대화'를 이어가며 본격적인 오프라인 본업경쟁력 회복에 나선다.
이마트·이마트24·이마트에브리데이 3사 기능 통합을 통한 원가경쟁력 확보와 물류 효율화로 주요 상품들을 상시최저가(Every Day Low Price) 수준으로 운영해 '가격리더십'을 주도하고, 온오프 집객 선순환 시너지를 도모할 방침이다.
아울러 올해 온라인 자회사들은 비효율을 걷어내고 수익 구조를 안정화 하며, 이를 고객 가치 실현과 고객 경험 확장에 투자할 방침이다.
SSG닷컴은 물류 체계를 효율화하고 대형 PP센터 중심의 권역재편과 운영개선으로 주문률과 생산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 작년 7월 런칭한 '익일 배송 서비스' 쓱1데이배송의 구색을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G마켓은 오픈마켓 판매자들의 동일 상품을 가격 비교해 최저가 기준으로, 개별 고객이 보유한 최대 쿠폰을 선 적용해 추천해주는 '개인화'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한다. 또한 풀필먼트 운영 개선과 AI 광고 서비스 강화로 수익 확대에 나선다.
관련기사
- "설 선물 준비 서두르세요"…이마트, 핸드캐리 물량 30%↑
- 이마트, 한우·위스키 최대 40% 할인
- 이마트, 밸런타인데이 캐릭터 '춘식이' 기획 상품 선봬
- "불고기·양파·만두 더 싸게"…이마트, 2월도 '가격파격 선언'
- "54개 상품 초저가"…이마트·에브리데이, '가격역주행' 프로젝트
- 이마트, 3월 신학기 앞두고 '데코라인' 책상 반값
- 이마트 트레이더스, 20만원대 가성비 음식물 처리기 출시
- 이마트, 선불충전형 모바일 금액권 '이마티콘' 선봬
- 이마트, 고객반응시스템·산지검품단 도입…먹거리 강화
- 이마트, 대형마트 최초 라오스 진출
- 이마트24, 퍼핀과 손잡고 알파세대가 선호하는 컵라면 할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