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러시아간 파워게임에 코로나 19까지...국제유가 20달러선 붕괴 가능성
[핀포인트뉴스=이승현 기자]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대표주자인 사우디와 비 OPEC의 대표주자인 러시아의 파워게임에 국제유가가 끝 모를 추락을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들 국가들이 산유량을 높고 치킨게임을 시작하면 6년전 상황이 재현되는 것으로 국제유가가 배럴당 20달러를 이하 수준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9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24.6% 폭락한 배럴당 31.13달러에 장을 마쳤다. 이는 걸프전이 반발했던 1991년 이후 약 30년만에 가장 큰 폭의 하락이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북해산 브렌트유도 전날보다 24.1% 하락한 배럴당 34.46달러에 마감했다.
국제유가의 폭락은 OPEC과 러시아간의 감산합의 실패의 영향이다. 지난주 OPEC은 러시아에게 기존의 일일 210만배럴 감산에 대한 기한을 연말까지 연장하고 2분기 일일 150만배럴을 추가로 감산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러시아는 원유 생산을 줄여봤자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이 늘어난다며 이를 거부했다.
코로나19 사태로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 OPEC과 러시아가 추가 감산을 단행할 것이라는 예상이 빗나가면서 그 여파가 시장에 직격탄을 날린 셈이다.
여기에 사우디아라비아가 4월 원유 공식 판매가격을 낮추고, 증산을 발표하며 유가의 하락 폭은 더 확대됐다.
현재 언급되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증산 규모는 10~20% 수준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미국도 셰일오일 생산을 감축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표명함에 따라 당분간 유가 하락은 불가피해보인다.
앞서 미 에너지부는 이번 원유증산에 대해 "유가시장을 조작하고 충격을 주려는 행위"라고 표현하며 "미국은 세계 최대 유가 생산국으로써 이러한 변동과 충격에 견딜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상황이 계속될 경우, 지난 2014년부터 2016까지 이어졌던 사우디발 원유 치킨게임이 다시 재현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당분간 국제유가가 배럴당 30달러선에 거래될 것이며 최대 20달러 밑으로 내려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또 그 시기는 사우디와 러시아간의 재협상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규연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OPEC의 감산 종료로 유가 하단 지지 요인이 소멸됐다"며 "상반기 중 WTI는 배럴당 25달러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
이승현 기자 shlee430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