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유통망 및 전문성 보유해 선정 불가피
[핀포인트뉴스=차혜린 기자]
일부 언론, SNS 등에서 공적마스크 유통업체인 지오영 등과 관련해 독점 특혜가 아니냐는 문제가 제기되는 가운데, 정부가 이를 적극 해명하고 나섰다.
기획재정부는 판매처 선정 시 공공성과 접근성을 최우선 순으로 고려한 조치라며 의혹을 불식시켰다.
9일 기재부 측은 공적마스크 공급권과 관련해 공공성과 접근성이 높은 수급처를 지정했다는 입장이다.
기재부 측은 “국민보건의료를 1차적으로 담당하고, 전국 23,000여개소를 갖춰 접근성이 높은 약국을 판매처로 최우선 선정하였으며, 나머지 우체국과 농협을 보완적으로 선정하게됐다”고 밝혔다.
지오영·백제약품 선정에 대해서는 해당 업체가 전국적인 약국 유통망과 전문성을 보유한 업체라는 점을 이유로 꼽았다.
기재부는 “지오영 직거래 약국은 전국 1만 4천여개소로 전체 약국의 60% 수준의 국내 최대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어 선정이 불가피했으며, 이외 공급망에 포함되지 않은 곳은 백제약품을 통해 5천여개소에 공급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또 정부가 판매처를 단 두 곳만 선정하게 된 이유는 마스크 유통경로를 효과적으로 추적·관리하기 위함이라는 것이다.
기재부는 “매점매석이나 폭리와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담업체의 관리·유통이 효율적이다”며 “따라서, 약국 유통업체에 독점적 공급권을 부여한 것이 아니고, 유통과정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민·관 4개 업체·기관이 서로 협력하여 공적 공급을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차혜린 기자 chadori95@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