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조달청.

[핀포인트뉴스=차혜린 기자] 일부 생산·제조 업체들이 조달청의 통보식 마스크 원가산정에 반기를 든 가운데, 조달청은 측은 정부가 사전에 생산단가 자료를 받아 원가와 대조해 결정한 기준가격이라고 밝히면서 진실공방이 오가고 있다.

또 일부 업체의 반기로 마스크 생산이 중단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자, 조달청 측은 현재 전국 대부분의 업체와 납품계약을 완료한 상태로 "생산 중단은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6일 치과용 마스크를 보급하는 이덴트 측은 더이상 정부 측의 무리한 생산요구에 손실을 감수할 수 없다며 생산중단을 선언했다. 정부가 요구하는 단가 책정과 생산량이 부당하다는 이유에서다.

이날 신선숙 이덴트 대표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조달청에서는 마스크 생산량이 80%를 매입하겠다고 밝히면서, 생산원가의 50% 정도만 인정해주겠다는 통보와 약 일일생산량 10배에 해당하는 계약 조건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생산 중단의 이유를 밝혔다.

반면, 조달청은 사전에 생산단가 자료를 받아 원가와 대조해 책정한 기준가격이며, 기업 압박과는 별개라는 입장이다.

조달청 관계자는 "사전에 업체로부터 생산단가 자료를 받았고 자체 보유하고 있는 원가자료와 대조해 기준 납품가격을 900원으로 결정한 것"이라며 "또 모든 마스크를 이 가격에 일괄구매하는게 아니라 고급 마스크 등 용도와 생산단가별로 가격을 협상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또한 조달청 측은 각 업체별로 납품단가를 협의해 결정해 거의 계약이 완료된 상태라고도 설명했다.

관계자는 "마스크 생산업체들이 계약조건에 불만을 품고 있는 것도 사실이나, 이는 일부에 불과할 뿐 마스크 생산에는 차질이 없다"며 "현재 수의계약 업체 중 대다수가 조달청의 단가를 수용하고 있는 상태로, 생산 중단을 선언한 업체에 대해서는 협상을 계속해 진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차혜린 기자 chadori95@gmail.com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