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늘며 기업들 IPO 취소 사례 줄이어...증권사 IB업무도 사실상 ‘올스톱’

[핀포인트뉴스=이승현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확대에 기업들의 기업공개(IPO)가 줄줄이 연기되거나 취소되고 있다.

이는 증권사 주요 수익원인 IB(투자은행)의 실적 저조로 이어지고 일부 증권사들은 사실상 IB업무가 올스톱된 상황이라며 한숨만 내쉬는 모양새다.

2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증권사 IB(투자은행) 부문이 코로나19 확산에 올스톱된 상황이다.

이는 코로나19 확대 여파로 기업 IPO가 줄줄이 취소된데 따른 것.

기업별로 차이가 있지만 대면 업무가 많은 증권사 IB업무는 최근 사실상 불가능해 지고 여기에 증시하락 여파가 더해지며 증권사들의 올해 1분기 실적이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지난해 1분기의 경우 전년대비 56.4% 증가한 7794억원의 IPO 공모금액을 기록하며 상장된 기업 대부분이 희망 공모가 밴드 상단을 기록했지만 올해는 정반대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19로 증시 변동성이 높아지자 IPO 추진 기업들이 제대로된 기업 평가를 받지 못할 수 있다는 판단 아래 일정을 취소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여기에 증시 상황도 좋지 않아 공모 취소 기업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IPO 시장 침체로 인해 가장 큰 타격은 지난해 주관 실적 1위에 오른 NH투자증권(공모금액 1조675억원)을 비롯해 2위와 3위에 이름을 올린 한국투자증권(7077억원), 대신증권(2796억원) 등이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을 추진하는 일부 증권사의 경우 주요 국가의 한국인 입국 금지 조치로 인해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현재는 해외 출장을 취소하고 필요한 경우 유선과 온라인 미팅을 진행하는 한편 현지 협력사의 협조를 구해 PF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상황인데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제대로 된 업무를 진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WM 부문의 경우 라임자산운용의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와 코로나19 상황이 맞물리면서 역대급 실적 뒷걸음질을 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라임사태로 인해 일부 증권사에 대한 신뢰도가 추락한 상황에서 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 증시 상황도 좋지 않자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커져 자산가들을 중심으로 자금을 회수할 수 있어서다.

지난해 자기자본 상위 10개 증권사 중 8개 증권사가 사상 최대 순이익을 기록한 만큼 올해 1분기 실적 악화는 기저효과 등으로 더욱 충격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증권가는 예상했다.

브로커리지 부문은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에 힘입어 지난해보다 좋은 실적을 기록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하지만 전체 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은데다 증시 상황이 좋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적 악화를 막을 정도의 수익을 올리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증시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에 지난해와 같은 실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위기감이 감돌고 있다"며 "브로커리지 수익은 물론 IB, WM 등 전 부분에서 실적 감소 현상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코로나19로 대면영업이 어렵지만 아직까지는 각 분야에서 맡은 바 업무를 잘 진행하고 있다"면서도 "사태가 장기화 국면에 접어든 상황으로 보여 1분기 어닝쇼크를 기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승현 기자 shlee4308@hanmail.net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