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저감화 3개년 계획’ 발표...500㎖ 생수병 1680만개 양

동원산업 주빌리호 김민호 선장과 선원들이 플라스틱 저감화 3개년 계획의 슬로건 No! Plastic! Yes! Blue Ocean!이 적힌 티셔츠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동원산업

[핀포인트뉴스=안세준 기자]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해양 생태계 오염 문제가 심각한 가운데 세계 최대의 원양선단을 보유한 동원산업이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해 적극적인 활동에 나선다.

동원산업(대표 이명우)은 26일 매년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플라스틱 저감화 3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동원산업은 수산기업으로는 이례적으로 TPO(Total Plastic officer, 토탈 플라스틱 오피서)라는 직책을 신설했으며, 선박별로 플라스틱 관리팀을 구성해 전사적인 플라스틱 절감 운동을 관리 감독할 예정이다.

‘플라스틱 저감화 3개년 계획’은 환경부의 플라스틱 저감화 방침에 따라 수협 등 국내 관련 단체 연계해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며 SeaBOS(Seafood Business for Ocean Stewardship)를 비롯한 다양한 국제 수산기구의 시행 방침을 준수하고 적극적으로 이행해나갈 계획이다.

동원산업은 앞으로 3년간 총 40척의 자사 원양어선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소모품 양을 2019년 연 409.8톤에서 2022년까지 연 141.6톤으로 약 65.4% 절감할 계획이다.

이 기간 동안 절감되는 플라스틱 소모품의 양은 총 268.1톤으로 500㎖ 플라스틱 생수병으로 환산하면 무려 약 1680만개에 달하는 양이다.

동원산업의 플라스틱 줄이기 노력은 다양하다.

우선 조업에 사용하는 집어장치(FAD)를 기존 플라스틱 소재에서 생분해가 가능한 바이오 집어장치로 변경하고 있다.

집어장치는 물고기들을 유인해 어획하기 위한 부유물 장치로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소재의 그물과 비닐 등으로 제작되며 사용 후 수거하게 된다.

반면 바이오 집어장치는 나무와 천연섬유 소재로 제작돼 생분해가 가능하다. 동원산업은 바이오 집어장치 사용 비율을 2022년까지 60% 이상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선박에서 사용하는 플라스틱 소모품들은 친환경 포장재로 대체하고 사용효율도 늘리고 있다.

플라스틱 소재의 작업용 테이프, 비닐 완충재, 노끈 등을 종이 재질로 교체하고 있으며 선원복지의 하나로 전 선박에 무상으로 공급되던 생수도 기존 2리터 페트병에서 18.9리터 생수통 정수기로 전면 교체 중이다.

향후 선박 내 ‘IMO 인증 소각기’와 ‘압착기’ 운영을 확대해 선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들도 자체 처리하고 매월 현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현재 ‘IMO 인증 소각기’와 ‘압착기’는 태평양에서 조업하고 있는 선단 중 동원산업만이 유일하게 운영하고 있다.

이 밖에도 동원산업은 필환경 경영 차원에서 리테일 경로에서 연간 15만개 이상 사용되고 있는 포장용 아이스팩을 3월부터 100% 물과 재생용지를 사용한 친환경 소재 제품으로 전량 교체하며 제품 포장에 대한 소재 변경 및 경량화를 통해 2022년까지 35%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여나갈 계획이다.

한편, 동원산업은 지속가능수산물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글로벌 비영리기구인 MSC(Marine Stewardship Council: 해양관리협의회)로부터 지속가능한 어업에 대한 인증을 지난해 국내 수산기업으로는 최초로 받았다.

MSC는 지속가능한 수산업을 통해 우리 자녀세대에게 풍부한 바다 식량자원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글로벌 비영리기구로 현재 세계 어획량 중 약 15%가 MSC 인증을 받은 수산물이다.

‘플라스틱 저감화 3개년 계획’의 TPO로 임명된 한국희 동원산업 부장은 “매년 단계별 목표를 정해 실천 계획을 전사에 공유하고 실제 성과를 측정해 대외적으로 공개할 것”이라며 “국가대표 수산기업으로서 해양 환경 보호에 적극적으로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안세준 기자 to_seraph@naver.com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