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검찰 압수수색에 코로나 여파까지 판매사-투자자 삼자대면 연기 고심

[핀포인트뉴스=이승현 기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여파와 검찰의 압수수색등이 겹치며 금융당국의 무역금융펀드(플루토TF-1호) 등 라임 환매 중단 펀드에 대한 분쟁조정이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조사단을 꾸리고 라임 분쟁조정 시일을 저울질 하던 금감원은 이같은 악재에 사실상 향후 분쟁조정 일정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 분쟁조정2국, 민원분쟁조사실, 자산운용검사국, 금융투자검사국 등으로 구성된 합동현장조사단 팀장·팀원 인사를 냈다.

조사단은 각 검사국에서 파견 인원을 협의한 이후 최종 발족한다.

금감원은 지난 21일 기준으로 누적 접수된 라임 펀드의 분쟁조정이 250건 이상이며 이중 무역금융펀드를 중점적으로 분쟁조정에 나설 계획이었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 등에 따라 내달 초 신한금융투자와 라임자산운용에 1차 현장조사에 나선 뒤 은행 판매사와 증권 판매사에 2, 3차 현장조사를 진행하는 일정을 다소 늦추는 방향을 염두하고 있다.

앞서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24일 원내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사태 진정 시까지 사태심각지역에 금감원의 현장 검사를 한시 중단하기로 했다.

다른 지역도 소비자피해 방지 등 필요한 검사 중심으로 최소한 실시할 방침이다.

은행과 증권 판매사를 대상으로 하는 2, 3차 현장조사의 경우 투자 피해자와 판매 직원, 금감원 직원이 동반해 삼자 대면을 해야 하기 때문에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어려움이 주요 이유다.

금감원 관계자는 "코로나19 확산 여부에 따라 현장조사가 쉽지 않을 것이란 의견이 나오고 있다"며 "삼자대면이 있는 판매사 현장조사는 유선으로 진행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 분쟁조정이 늦어질 수 있고 내부에서는 늦어지더라도 확실하게 가야한다는 의견도 나온다"고 전했다.

앞서 진행한 검찰 수사도 일정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라임운용과 신한금융투자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으로 관련 문서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내부적인 우려 때문이다.

일단 금감원은 지난해 진행한 라임과 신한금투에 대한 검사 자료를 내부적으로 공유받고 있고 검찰이 라임과 신한금투간 공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핵심 부서인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 사업부 등에 관한 자료를 모두 수거했을 수 있어 자료 존재 여부 등을 파악해 일정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신한금투 검사 결과 라임과 신한금투가 펀드 부실을 은폐하고 계속해서 펀드 판매에 나서, 사실상 투자자를 기망한 사기로 보고 집중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이승현 기자 shlee4308@hanmail.net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