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돈 아이피허브 대표

이병돈 아이피허브 대표
이병돈 아이피허브 대표

많은 기업들이 특허출원을 준비하면서 기술만 설명하면 특허사무소 전문가가 알아서 명세서를 써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는 가장 큰 착각 중 하나다. 

특허사무소는 우리를 대신해 모든 것을 해결해주는 대행인이 아니라, 기업의 권리를 지켜주는 협력자다. 협력자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게 만들려면 기업 스스로도 자료를 철저히 준비해 제공해야 한다. 

특허의 성패는 우리가 어떤 정보를 얼마나 풍부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느냐에 달려 있다.

기술 설명 자료를 준비할 때 우리 기술의 배경과 차별성을 분명히 정리해야 한다. 단순 기능 나열을 넘어서 기존 기술과의 비교를 포함해야 한다. 어디에서 참고했고, 어떤 점이 같고, 어떤 부분이 다른지를 정리해 차별성을 명확히 드러내야 한다. 

기술설명서에 어떤 부분은 기존 기술에서 참고했고, 어떤 부분은 동일하며, 또 어떤 부분은 뚜렷하게 다른지를 코멘트 형태로 기록해 특허사무소에 제공해야 한다. 

이런 준비가 되어 있으면 특허사무소 담당자는 명세서에 기존 기술과 차별화된 표현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는 심사 과정에서 거절 사유로 지적될 수 있는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반대로 이런 정보가 전혀 없이 단순히 “우리 기술은 혁신적이다”라는 설명만 전달한다면, 심사 과정에서 기존 기술과의 구분이 불명확해져 불필요한 거절에 직면할 수 있다.

또한 특허출원 자료에는 장점뿐 아니라 장점뿐 아니라 단점과 미해결 요소까지 포함시켜야 한다. 

많은 기업들은 장점을 강조해야만 특허가 유리하게 심사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 심사에서는 단점이나 미해결 요소가 반드시 드러난다. 어차피 심사 과정에서 드러날 것이라면 미리 단점을 알려주고, 이를 보완하는 논리를 세우는 것이 훨씬 현명하다. 

예를 들어 “아직 이 부분은 해결되지 않았지만 기존 기술과 비교했을 때 이런 개선 효과가 있다”라고 설명하면, 불리할 수 있는 지점이 오히려 강점으로 전환될 수 있다.

많은 기업들이 특허사무소와의 관계를 오해한다. “우리가 돈을 내고 맡겼으니, 필요한 자료는 사무소에서 알아서 찾아야 하지 않느냐?”라는 생각은 절대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특허사무소는 기업이 제공하는 자료를 토대로 최적의 전략과 문구를 찾아내는 조력자다. 우리가 제공하지 않은 정보를 대신 발굴해줄 것이라는 기대는 현실적이지 않다. 

기업이 특허 자료 준비를 소홀히 하면, 특허사무소도 그만큼 제한된 자료로 일할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권리 범위가 좁거나 거절 가능성이 높은 특허로 이어질 수 있다.

특허사무소를 단순한 대행자가 아닌 협력자로 인식해야 한다. 충분한 자료를 제공하고 적극적으로 설명해야만, 특허사무소도 기업의 기술을 최적화된 권리로 전환할 수 있다.

실제 사례를 보면, 한 중소기업은 단순히 기술 설명만 전달하고 나머지는 특허사무소가 알아서 해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심사관은 기존 기술과의 차별성이 명확하지 않다고 판단해 거절 이유를 통지했다. 이후 기업은 보완 자료를 추가 제출해야 했고, 그 과정에서 등록까지 2년 이상이 지연되었다. 

반면 또 다른 기업은 출원 단계에서부터 기존 기술과의 비교표, 개선 포인트, 한계점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 특허사무소에 제공했다. 

덕분에 특허사무소는 명확한 차별성을 드러내는 표현을 명세서에 반영할 수 있었고, 등록까지 걸린 기간도 상대적으로 짧았다. 같은 기술력이라도 준비 태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 것이다.

특허출원 자료 준비를 소홀히 해 거절이나 등록 지연을 겪게 되면, 시간과 비용의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 심지어 추가 비용을 감당할 여력이 부족해 중도에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처음부터 기술 배경과 비교 자료, 장점과 단점을 체계적으로 준비해 특허사무소와 공유한다면, 출원 과정은 훨씬 원활해지고 등록 가능성도 높아진다.

특허출원은 단순히 “서류를 내는 일”이 아니다. 자료 준비 단계에서부터 기업의 태도와 전략이 반영된다. 제대로 준비된 자료는 특허 등록 가능성을 높일 뿐 아니라, 기업의 기술을 더 강력한 권리로 만들어준다. 

반대로 자료 준비를 소홀히 하면 아무리 뛰어난 발명이라도 기대만큼의 권리를 확보하기 어렵다. 

결국 특허출원 자료 준비는 비용 절감, 시간 단축, 성공 가능성 제고라는 세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출발점이다.

저작권자 © 핀포인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