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핀포인트뉴스 최희우 기자] 가상자산(암호화폐) 가치 하락은 관련 범죄 양상을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가상자산 거래에서 사기 등 일부 범죄 비중은 줄었지만, 해킹과 도난 범죄는 증가한 것이다.
17일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기업 체이널리시스가 발표한 '2023 가상자산 범죄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 불법 거래는 15% 감소했으나 해킹이나 가상자산 도난과 같은 특정 종류의 범죄는 증가했다.
지난해 7월까지 해킹으로 탈취된 가상자산은 약 1조5700억 원인데, 올해 같은 기간에는 약 2조5000억 원으로 크게 늘었다.
지난해부터 주요 피해 사례로 지목된 디파이(탈중앙화금융) 서비스가 올해도 큰 비중을 차지했다.
디파이 서비스에 주로 쓰이는 공개 소프트웨어는 사이버 범죄자에게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디파이 시장에 스타트업 등 신생 기업이 빠르게 진입하면서 보안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사례가 발생하기도 한다.
라자루스 그룹 등 북한 해킹 조직은 디파이 서비스를 노리는 대표 조직으로 꼽힌다. 체이널리시스는 현재까지 북한 관련 단체가 디파이 서비스에서 약 1조3000억 원을 탈취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체이널리시스는 가상자산 해킹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업계에서 보안을 강화하고 소비자에게 안전하게 투자 가능한 프로젝트를 찾는 방법에 대해 교육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기업의 과실로 해킹이나 도난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는 사실을 입증하기가 어렵다"며 "소비자 보호를 위해 금융 교육이나 보험, 관련 법령 제정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김형중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현재 해킹과 도난을 법으로 처벌할 수 있는 방법은 굉장히 어렵다"며 "개인이 비밀번호를 어렵게 만들거나, 기업이면 보안 강화에 힘을 쏟는 수 밖에는 없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