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화(公水化) 논란 품은 ‘제주 용암수’...국내 판매 사업 허가 동상이몽
오리온 “국민들이 마실수 있는 물 수출해야” vs 도 “합의 내용 위반, 원수 공급 중단하겠다”
오리온의 야심작, 제주용암수가 다음 달 제품 출시를 목전에 두고 위기를 맞고 있다. 제주도가 공수화(公水化) 문제로 제주용암수 원수 공급 여부를 재검토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도는 오리온과 해당 제품을 국외로만 수출할 것을 계약했으며, 국내 판매 사업과 관련한 합의는 애초에 없었다는 골자다. 반면, 오리온 측은 “원수 공급에 차질이 없을 뿐더러, 국내 생산 출하에도 문제가 없을 것”이란 공식 입장을 내놓은 바 있어 진실 공방전이 이어지고 있다.
앞서 오리온 측은 지난달 26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제주용암수의 국내외 판매 계획을 명확히할 것을 밝혔다.
허인철 오리온 부회장은 “국내 소비자가 마시지 않는 물을 중국 등 해외에만 수출한다는 게 말이 안된다”면서 “제주용암수는 특정 목표시장에 제한을 두지 않을 것을 약속하며, 만일 이와 관련해 허위 사실을 유포하는 경우엔 법적 대응을 불사하겠다”고 강조했다.
또한 염지하수 공수화 우려에 대해 허인철 부회장은 “71억톤에 달하는 ‘제주 용암수’가 매장되어있는데, 이는 매일 1만톤씩 사용해 약 2000년을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풍부한 자원에 해당한다”면서 “이외에도 사업발전기금 20%를 제주도에 환원하며 사회적 책임을 함께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나, 4일 오리온이 제주용암수를 국내에서 판매하겠다면, 공수화 정책에 따라 원수 공급을 허가하지 않겠다고 밝혀 파장이 일고 있다.
제주도 측은 오리온이 해외 판매만 약속했는데 말을 바꿨다는 입장이다.
제주도는 물을 공공자원으로 관리한다. 이 때문에 염지하수는 공수화 우려에 따라 민간기업의 제조·판매를 전면 금지했으며, 지방공기업만 허가받은 양만을 이용할 수 있다. 2008년부터는 제주특별법 개정에 따라 제주 용암 해수단지에 한정해 생수 제조 및 판매가 허용됐지만, 사업 초기부터 국내 판매용으로는 공급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히 해왔다는 것.
박근수 도 환경보전국장은 “그동안 공문 등을 통해 공수화 원칙상 염지하수를 국내 판매용으로 공급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왔는데도 오리온은 제품 출시를 강행했다”면서 “오리온이 정식 계약이나 구체적 사업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은 채 계속해서 제품을 판매하면 더는 염지하수를 공급할 수 없다”고 밝혔다.
제주도 측은 염지하수를 관리하는 제주테크노파크(JTP)와 오리온 사이 체결한 용암해수 공급지침에 따른 용수공급계약이 존재하지 않음을 재확인했다. 국내 유통되는 제주용암수 제품에 대해서는 시제품 생산량이 전부일 뿐, 앞으로 용수 공급을 할 의무는 없다는 입장이다.
박근수 환경보전국장은 “오리온 측이 최근에야 중국 수출을 위해 국내 판매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당초 신의를 저버리는 일이며 이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오리온이 시제품 생산용으로 공급받은 염지하수를 국내 판매용에 이용하려는 점은 매우 유감”이라며 “오리온이 제주용암수 국내 판매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사업계획서도 제출하지 않았을 뿐더러, 현재 오리온에 공급되는 염지하수 물량은 시제품 생산을 위한 최소한의 공급일 뿐 국내 시판 제품 생산을 위한 공급목적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차혜린 기자 chadori95@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