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보면 쓸모있는 마케팅 사전-마케팅 트렌드 용어
Customer Journey Map(고객 여정 지도)
고객 여정 지도는 고객이 브랜드/제품에 노출된 시점부터 구매, 그리고 로열티 형성, 재구매까지의 단계를 체계화한 도식으로, 브랜드 런칭이나 리뉴얼, 마케팅 캠페인 등 다양한 시기에 활용됨. 고객의 여정 각 단계별로, 고객 접점/소구포인트/컨텐츠/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등을 함께 정의한다.
* Customer Transition Map(고객 전이 맵) : 기준 기간 대비 고객 세그멘테이션의 질적/양적 변화를 도식화한 맵으로 주로 CRM이나 고객조사 분석에 활용된다. 예를 들어, 이전 기간 대비 신규고객/일반고객/우수고객/휴면고객/이탈고객 등의 성장과 축소, 유입과 유출을 파악하여 세그멘테이션별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한다.
트리즈
창의적 문제 해결 이론(Teoriya Resheniya Izobretatelskikh Zadach)이라는 러시아어의 이니셜로, 러시아의 겐리히 알츠슐러(Genrich Altshuller)가 개발한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이론이다. 알츠슐러와 연구진은 세계 특허기술 약 2만건 이상의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여 본 이론을 만들었다. 즉 39가지의 표준인자(해결해야할 속성)를 각각 X/Y축으로 설정하고, 해결해야할 속성 두가지에 대한 X축/Y축의 교차점을 선택하면, 40가지의 문제해결 원리 중 가장 근접한 솔루션을 추출해 낼수 있다. 최근 마케팅에서도 많이 활용됨
Platform
최초 무언가를 타고 내리는 승강장/강단을 뜻하는 의미에서, IT의 특정 장치나 시스템 등에서 이를 구성하는 기초가 되는 틀을 지칭하는 용어로 주로 쓰였다. 그리고 현재는 "공급자와 수요자 등 복수 그룹이 참여해 각 그룹이 얻고자 하는 가치를 교환하기 위해 구축된 생태계"로 이커머스/공유경제/문화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Keyword이다. 특히 플랫폼 효과로 소비자는 높은 가치와 합리적인 가격으로 재화를 이용할 수 있고, 회사는 on demand 효과로 인해 고정비/변동비를 줄여 경영효율을 높일수 있다.
4차 산업 혁명
클라우스 슈밥이 세계경제포럼(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 주창한 당시대의 산업혁명 단계로, IT의 융합과 초연결, AI 등을 통한 사회/문화/경제적 변화를 말한다.(다음은 각 산업혁명 단계별 특징)
- 1차 산업혁명 : 증기기관, 철도, 방적산업 발전
- 2차 산업혁명 : 전기, 대량 생산 체제
- 3차 산업혁명 : 컴퓨터, 인터넷, 산업자동화
- 4차 산업혁명 : 융합과 연결(ICT & 유비쿼터스), 초연결(모바일,IOT), 초지능, 예측(AI)
ERRC
리모델링을 위한 방법론으로 업무를 효율화하기 위한 전략적 분석시 사용된다
- Eliminate : 제거할 업무
- Reduce : 감소할 업무
- Raise : 증가시킬 업무
- Create : 창조할 업무
MECE(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
상호 중복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누락이 없도록 이란 뜻으로, 분류/군집/카테고라이징을 위한 방법론으로 상품 카테고리 분류, 업무 분장/분류 등에 활용된다
캐즘(Chasm)
원어로는 땅/바위/얼음등에 있는 깊은 틈의 의미를 갖고 있다. 경영/마케팅 차원에서는 순증하던 시장 점유율이나 매출 등이 정체에 빠진 상황을 의미한다. 캐즘 분석을 위해서는 마케팅 차원의 시장 트렌드 분석이 가장 선행되어야 하며, 그를 통해 밝혀진 시사점과 기회요인을 바탕으로 캐즘을 돌파하기 위한 솔루션을 찾아야 한다(예-신규브랜드 런칭, 기존 브랜드 확장(유통망 등), 브랜드 인지도 상승을 위한 광고캠페인 등)
*TA(Turn Around) : 사업적으로 정체가 계속되거나, 심화되는 경우 전반적인 경영 상황 분석을 통해 재성장을 위한 솔루션을 수립하기 위한 전략적 방법론이다. 시장 트렌드 분석 및 운영 프로세스 재검토, 인건비/투자비/물류비 재분석등 사업 전반의 현상을 진단하여, 그에 따른 해결안을 종합적으로 구조화 한다
* 일반적으로 캐즘의 경우는 시장 점유율이나 매출이 그대로 유지되는 상태이나 더 이상 성장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도약/점프업을 위한 완전히 새로운 솔루션이 해결 방안이고, TA의 경우는 기존 대비 시장점유율이나 매출이 지속적으로 하락 하는 상태이므로 경영효율화를 위한 프로세스 개선 및 운영 효율화가 해결 방안임
비즈니스 관련 다빈도 키워드
- 공유경제/Fin-Tech/크라우드 펀딩/O2O/P2P/B2B2C/ICO(가상화폐공개)
- 슬리포노믹스/펫코노미/디지털장의사/스타트업/린스타트업/브랜드엑셀러레이션
- Uber Moment/갈라파고스증후군
IT 관련 다빈도 키워드
- ICT/AI/IoT/VR/AR/MR/3D 적층 기술/스마트홈/스마트헬스케어
- 커넥티드카/자율주행/드론/언택트기술/캄테크/블록체인
문화 트렌드 관련 다빈도 키워드
- 욜로/미니멀 라이프/타이니하우스/워라밸/졸혼/스테이케이션
- 픽미세대/홈트족/홈루덴스족/키덜트족/혼설족/혼영족/혼술족/혼놀족/뉴노말중년/쇼루밍족
- 미닝아웃/소확행/햄릿증후군/힙스터/케렌시아/가심비/플라시보 소비/위너쇼퍼/ASMR
임지혜 기자 lhjihj903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