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보면 쓸모있는 마케팅 사전-광고용어

2019-09-20     임지혜

광고 제작 관련 주요 용어

Ad Brief

광고주가 광고 대행사에 광고 제작을 의뢰하기 위해, 브랜드 및 제품, 광고 방향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자료. 통상적으로는 광고 영역의 RFP(Request for Proposal)로 사용됨

* 광고대행사 선정 : 일반적으로 3개 이상의 복수 후보자에게 Ad brief 형태의 RFP를 송부하고, 제안 PT를 통해 대행사를 선정하며, 평가항목으로는 프로젝트의 이해도/크레에이티브전략/모델전략/매체전략/캠페인전략 등이 있다

* 광고대행사는 대형 광고 대행사 및 부띠크 대행사로 나뉘며, 광고의 규모 및 대행사의 역할에 따라 대행사를 선정한다

Ad OT

광고주와 광고 대행사가 광고 제작 기획을 위해 광고 목적, 컨셉, 예산, 일정등의 아웃라인을 협의하는 자리로 ad brief와 함께 BI 매뉴얼, 제품소개서 등의 부가자료도 함께 사용된다.

콘티

제작될 광고의 내용을 쉽게 알수 있도록 광고 장면과 카피를 일러스트 또는 편집 동영상 형태로 제작한 것으로 마케팅 컨텐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토리 라인과 유사한 의미

PPM(pre production meeting : 촬영에 관한 상세 계획(촬영장/소품/의상/카메라/음향/스탭 등)을 광고주와 광고대행사가 최종 점검하는 자리

큐시트

광고가 상영되는 채널(TV, CATV, IPTV등), 프로그램, 시간대, 초수 등을 상세히 기록한 것

* 도표에는 없으나, 광고 전략 기획 단계의 시장조사, 광고 제작 단계의 리허설, 광고 제작후 단계인 편집, 광고 심의 등은 상식적인 선에서 진행되므로 설명을 skip함

광고 분석 용어

커버리지

특정 미디어/광고가 도달 가능한 시간적/장소적 범위를 의미. 공중파는 전지역, 지방라디오는 해당 지역, 지하철 스크린 광고는 지하철 운영시간중 이용객을 커버한다 등을 뜻하며, 이는 광고 매체 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속성으로 활용한다

SOV(share of voice) : 광고점유율로, 특정 산업/카테고리/제품의 총 광고집행액 중 자사의 광고 집행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 최근에는 다양한 광고 채널 운영으로 인해 SOV를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므로, 각 채널별로 광고효과를 분석하여 경쟁력을 분석하고, 광고 집행 중/후의 광고 효과 조사를 통해 광고효율을 분석하기도 한다

GRP(gross rating point)

광고 노출수에 따른 프로그램의 시청율을 모두 합한 값으로, 프로그램 시청자가 광고를 모두 시청한 것으로 가정하여 광고 노출율을 단순 합산한 수치. 예를 들어 시청율이 30%인 프로그램에 광고를 1회, 5회 노출하면 GRP는 30%/150%로 노출 관점의 지표값

CPRP(cost per rating point) : 1%의 시청율을 얻기위한 광고 집행 비용. 프로그램의 광고 집행 비용을 시청율로 나눈 값으로 숫자가 낮을 수록 광고 집행 비용의 효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공중파/CATV/IPTV등의 각 프로그램별 광고비를 사전에 수취, CPRP를 분석하여 매체 집행 계획을 수립한다

Reach(도달) : 광고에 노출된 수용자의 수. 일반적으로는 R1, R2, R3등으로 집계하여 활용한다. R1은 광고에 1번 노출된 수용자 비율, R2는 광고에 2번 노출된 수용자의 비율을 의미한다

AF(average frequency)

광고캠페인 기간중 해당 광고에 노출된 평균 횟수로, GRP를 Reach1로 나눈 값

임지혜 기자 lhjihj903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