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보면 쓸모있는 마케팅 사전-리서치(조사) 주제별 분류
시장 구조 조사
시장의 규모 변화와 시장 내의 전이/변동을 트래킹 하는 조사. (예-주방가전시장 구조 조사
/외식시장 구조조사)컨셉 수용성 조사
브랜드 또는 제품의 컨셉이 소비자의 인지/관심/기억 차원과 얼마나 강하게 연결되는지를 조사하는 것으로 새로운 브랜드/제품의 런칭 진행시, 기획력 및 타당성을 평가하는 차원으로 진행한다. (예-브랜드 네이밍 수용도 조사/신규 출시 앱서비스 수용도 조사)
제품 품질력 조사(시제품/생산품)
시제품 혹은 정규 생산된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는 조사로, 디자인 및 기능, 유통/가격 구조상의 경쟁력. (예-시제품 사내 품평/생산품 품질 경쟁사 비교 조사)
고객 만족도 조사
소비자의 이용 시점 혹은 이용후 고객 만족도를 평가하는 조사로, 제품/서비스/매장의 전반적인 평가 및 각 개별 항목들의 상세 평가로 이루어진다.
* 광위의 의미에서 미스터리 쇼퍼 조사의 목적은고객 만족도 조사
와 동일하며, 상시적으로고객 만족도 조사
를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 미스터리 쇼퍼 조사를 연 2~4회 운영하기도 한다광고 효과 조사
기업에서 진행하는 광고 캠페인의 노출/인지/관심/선호/매력도를 측정하는 조사로, 광고 캠페인이종료된 휴지 기간중에 조사를 진행한다. 최근에는 TV/CATV/라디오/옥외광고등의 ATL 미디어 외에도 모바일/인터넷/SNS/APP등의 광고 노출 인지까지 세분화하여 효과를 조사하기도 한다.
브랜드 성과 지표 조사(BPI/Brand Performance Index) : 브랜드의 Status를 가장 핵심적으로 나타는 브랜드 인지도, 선호도, 이용여부, 재구매의향, 추천의향, 포지셔닝 상기도 등의 지표를 측정한다. 특히 인지도의 경우 보조 인지도와 비보조 인지도를 동시 측정하여 경쟁 브랜드와 비교/평가한다. 인지도를 제외한 나머지 지표들은 이용고객 VS 미이용고객을 나뉘어 비교/분석하기도 한다.
* 퍼널(funnel) 분석 : funnel은 깔때기란 뜻으로, 브랜드 인지부터 ~ 이용 이후 단계까지 각 단계별 고객수를 카운팅하는것으로, 브랜드 성과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다.(각 단계는, 브랜드인지-선호-이용여부-재구매여부-추천여부 순으로 나열되고, 브랜드 인지 고객수를 100%로 설정하여, 이후 단계를 구성비로 표기한다)
사용 태도 조사(U&A/Usage And Attitude)
브랜드를 이용하는 방법 및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는 조사로, 브랜드를 왜/언제/어떻게 이용하는지와(TPO), 브랜드에 대한 관심/이용등의 변화를 파악하며, 필요에 따라 경쟁사 브랜드도 함께 조사한다.
임지혜 기자 lhjihj903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