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보면 쓸모있는 마케팅 사전-디지털 마케팅 용어
[핀포인트뉴스=임지혜 기자]
디지털 마케팅의 기본 개념들
Media(channel)
고객 접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디지털 마케팅에서는 3개의 구분으로 나뉜다
- Owned Media : 회사가 직접 운영/관리하는 채널로 홈페이지, 앱, 이메일, SNS가(블로그/페북 등) 대표적인 채널이다
- Earned Media : 고객들이 스스로 회사의 컨텐츠를 소통/공유하는 채널로 "획득된" 혹은 "평가된" 미디어라 불린다
- Paid Media : 회사가 비용을 지불하여 제 3자(광고대행사)를 통해 운영하는 모든 광고 채널을 의미한다 (네이버 배너광고, 페이스북 피드광고, 유튜브 영상광고 등으로 디지털 광고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UI/UX(user interface / userexperience
사용자 접점/경험이란 뜻으로 온라인/모바일 기반의 플랫폼이 가진 외형적 특징라고 볼수 있다. 일반적으로 UI는 각종 영역 및 컨텐츠의 위치/모양/색상 등을 나타내는 좁은 의미의 디자인으로, UX는 전체 플랫폼이 가진 유입~유출(customer journey map)의 흐름/체계를 나타내는 넓은 의미의 디자인을 뜻한다.
* Customer journey map은 고객 여정 지도라고 번역될 수 있으며, 고객이 Owned Media에 접속하여 여러 컨텐츠를 여행하고, 특정 활동을 완료(장바구니 담기, 구매 등)하고 해당 채널을 빠져나가기 까지의 전체 과정을 의미한다
* Splash는 앱 구동시 브랜드의 컨셉을 강력하게 담아내는 모션 또는 인트로 그림을 뜻한다
* Coach Mark는 앱 구동후, 앱 사용을 위한 기본 기능을 간단한 텍스트 형태로 보여주는 이미지를 뜻한다
검색 최적화
각각의 검색 엔진들은 고객들이 검색하는 단어의 결과값을 보여주기 위해 특정 알고리즘을 갖고 있으며, 이에 따라 회사/브랜드는 이 알고리즘에 부합하도록 상품과 서비스의 컨텐츠를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 SEO(검색 엔진 최적화 : search engine optimization) : 네이버/다음/구글 등의 검색 포털을 통해 자사 브랜드/상품이 더 앞쪽에 배치 될수 있도록 최적화 하는 작업으로, 대중적인 단어이나 선점되지 않은 키워드를 중심으로 컨텐츠를 구성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키워드 광고/웹사이트 광고/쇼핑 광고/sns 광고 등의 광고 채널을 통해 최적화 하기도 한다. 검색 엔진 마케팅(SEM : search engine marketing)이란 단어도 유사한 의미로 간혹 쓰여짐
- ASO(앱스토어검색 최적화
: app-store search optimaization) : 구글 플레이, 애플 스토어 등의 앱 포털을 통해 자사의 앱이 더 앞쪽에 배치 될수 있도록 최적화 하는 작업으로 SEO와 유사한 패턴을 갖는다.서비스기획(컨텐츠 기획)
회사/브랜드가 제공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어떤 미디어 채널에, 어떤 컨텐츠로, 어떻게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기획을 뜻하며, 플랫폼 중심의 사업에서의 "어떻게"에는 고객접점 뒤(Back office)의 모든 value chain(공장/CS/물류/AS/협력업체)의 기획까지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Organic User(오가닉 유저)
검색 포털 또는 SNS를 통해 자연적으로 유입된 사용자를 말한다. 즉 보상형 광고나 이벤트 페이지를 거치지 않고 자연스럽게 검색한 유저를 말하며, 광고를 집행하지 않더라도 organic user의 유입이 많다면, 해당 사이트의 SEO가 잘 운영되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한다
Performance Maketing
최근 모바일/온라인 기술의 발달에 따라, 미디어 채널을 통한 광고/커뮤니케이션 시점 부터 앱/웹 사이트 로의 유입, 그리고 플랫폼 내에서의 행동들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직접적인 성과(매출/구매/참여)로 연결될 수 있도록 마케팅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방식을 말한다.
임지혜 기자 lhjihj903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