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역대 구글 검색어로 본 소비자의 검색열전
[핀포인트뉴스=안세준 기자] 한해 동안 대중들은 어떤 정보와 콘텐츠에 관심을 보였을까.
구글코리아는 매년 12월 국내 인기 검색어 순위를 발표한다. 순위가 공개된 분야는 종합 카테고리를 비롯해 국내뉴스/사회, IT, 게임, TV, 영화 등이다. 이 통계는 한 해 동안 화제를 모은 이슈와 트렌드를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대중의 관심이 집중된다.
한 IT 관계자는 "구글 검색통계를 통해 사건의 흐름이나 추이, 제품이나 분야별 인기를 알아볼 수 있다"면서 "역대 구글 인기 검색어 대부분이 대중문화는 연령대와 지역, 성별 등을 초월해 누구나 관심이 높다"고 설명했다.
?2018년 국내 구글 사용자가 가장 많이 찾은 검색어는 ‘로스트아크’다. 로스트아크는 국내 게임 개발 업체 스마일게이트 RPG에서 7년 동안 개발한 PC 온라인 MMORPG로 큰 기대를 모았다. 출시 시점인 11월에 전년 대비 검색 추이에서 큰 증가 폭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월드컵’이다.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은 한국 대표팀의 부진이 예상되며 흥행이 저조할 것으로 보였지만, 전 대회 우승국 독일을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는 등 뒷심을 발휘해 관심을 모았다. 월드컵은 한국 대표팀 경기가 열렸던 6월에 많은 검색량을 기록했다.
2월 열린 한국 첫 동계올림픽 ‘평창올림픽’은 종합 5위에 올랐다. 지난 연말부터 올해 초까지 가상화폐 열풍을 일으킨 ‘비트코인’은 7위를 기록했다.
2018년 국내 인기 검색어 종합 순위는 ①로스트아크 ②월드컵 ③김비서가 왜 그럴까 ④외모지상주의 ⑤평창올림픽 ⑥신과함께 ⑦비트코인 ⑧태풍 경로 ⑨하트시그널2 ⑩논산 여교사로 순으로 나타났다.
2017년 국내 인기 검색어 종합 순위는 ①너의 이름은 ②도깨비 ③설리 ④어금니 아빠 ⑤리니지M ⑥문재인 ⑦범죄도시 ⑧포켓몬 고 ⑨김주혁 ⑩리얼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인기 검색어 1위는 일본 신카이 마코토 감독의 애니메이션 '너의 이름은'이 차지했다. 누적 관객수 367만 명을 기록하며 국내 개봉 일본 영화 중 최고 흥행 실적을 거두는 등 이례적인 관심을 받으며 개봉 시점인 1월에 높은 검색량을 기록했다.
2위에는 케이블 채널 역대 최고 평균 시청률을 기록하며 지난 1월 인기리에 종영한 tvN 드라마 ‘도깨비’가 이름을 올렸으며, 배우 '설리'가 3위에 올랐다.
종합 순위 6위에는 올 한해 가장 큰 이슈 중 하나였던 대선의 영향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이름을 올렸다. 지난 10월 불의의 사고로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배우 고 ‘김주혁’이 애도의 분위기 속에 9위를 기록했다. 여중생 살해 및 유기 혐의로 전국민적인 공분을 샀던 ‘어금니 아빠’ 사건은 4위에 올랐다.
2016년 인기 검색어는 ①아가씨 ②태양의 후예 ③박유천 ④응답하라 1988 ⑤ 순실 ⑥내부자들 ⑦도깨비 ⑧이세돌 ⑨올림픽 ⑩오버워치 순으로 나타났다.
?2016년에는 국내 콘텐츠에 대한 검색이 전반적으로 활발했다.
?종합 1위를 차지한 '아가씨'에 이어, 올해 화제의 드라마 KBS2TV '태양의 후예'가 2위에 올랐다. 최고 시청률 38.8%를 기록한 태양의 후예는 지난 상반기 국내 인기 검색어 종합 1위를 차지한데 이어 올해 인기 검색어 종합 2위에 올랐다.
'어남류' VS '어남택'의 신조어를 탄생시키며 전국 시청자들을 애타게 한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은 종합 4위를 차지했고,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 영화 역대 최고 흥행기록을 세운 영화 '내부자들'은 종합 6위를 차지했다.
2015년 한국 최다 검색어는 1위는 메르스였으며 다음은 나무위키, 워터파크 몰카, 킹스맨, 베테랑, 이태임, 암살, 간신, 장성우, 스물 등이 뒤를 이었다.
메르스는 최초 감염자가 발생했던 5월 20일을 기점으로 메르스 확진이 전국적으로 확대된 6월에 검색량이 정점을 기록했고, 감염자 수 증가세가 둔화한 7월부터 검색량도 급감했다.
2위는 사용자들이 직접 만드는 백과사전 나무위키가 차지했다. 하위문화 콘텐트에 대한 풍부한 설명을 수록해 인기를 끌었던 리그베다 위키가 올해 3월 사유화 및 영리화, 사이트 해킹 등으로 논란이 되면서 리그베다 위키의 DB를 활용한 나무위키 사이트가 올해 4월 새롭게 개설되어 검색량도 증가했다.
이어 워터파크 여성 샤워실에 설치된 몰카 촬영 영상이 유포되며 몰카 범죄의 심각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킨 ‘워터파크 몰카’ 사건이 3위를 기록했다. 예원과의 반말 욕설로 구설에 오른 이태임이 6위, 전 여자친구가 SNS에 폭로성 게시물을 올리며 논란이 되었던 야구선수 장성우가 9위에 올랐다
안세준 기자 to_serap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