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 강남차병원 ‘아동학대 전담의료기관’ 지정…심리 치료 중심 대응 체계 강화

2025-11-26     홍인식 기자
(왼쪽부터) 이상원 강남경찰서 여성청소년과장, 조성명 강남구청장, 노동영 강남차병원장. 제공=강남구청

서울 강남구(구청장 조성명)가 아동학대 피해 아동의 신속한 치료와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강남경찰서, 강남차병원과 손잡았다. 구는 25일 구청에서 세 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아동학대 전담의료기관 지정 및 아동보호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아동학대 예방의 날’(11월 19일)을 계기로 마련됐다.

이번 협약의 핵심은 강남차병원이 새롭게 전담의료기관으로 지정됐다는 점이다. 현재 강남구에는 종합병원 2곳과 의원급 3곳 등 총 5곳의 지정 병원이 운영 중이며, 그동안 피해 아동들은 이들 병원 또는 아동보호전문기관이 연계한 의료기관을 통해 진료를 받아왔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신속한 심리·정서 진료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학대 경험 아동일수록 초기 심리 치료가 회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일부 정신건강의학과의 예약 대기가 길어 적기 치료가 어려운 상황이 반복돼 왔다.

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서적 개입이 긴급히 필요한 피해 아동을 빠르게 진료할 수 있는 기반 확대에 나섰다. 강남차병원이 지역 내 의료기관이면서 경찰서와의 접근성이 높아 초기 대응과 의료 연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정 배경으로 작용했다.

협약에 따라 강남차병원은 응급의학과와 정신과를 중심으로 전문 검사와 치료를 신속히 제공한다. 더불어 피해 아동 가정에 300만 원 상당의 회복 지원 물품을 전달하기로 했다. 강남경찰서는 현장 대응 과정에서 의료기관과의 협업을 강화하고, 강남구는 행정적 지원과 보호 조치를 체계적으로 추진한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협약을 넘어 아동학대 대응 체계에서 정신건강 치료의 비중을 높이고, 의료기관이 학대 징후 조기 발견과 보호 연계를 함께 수행하도록 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를 통해 재학대 예방 효과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조성명 구청장은 “이번 협약은 아이 한 명 한 명의 생명과 마음을 지키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이라며 “앞으로도 관계 기관과 더욱 긴밀히 협력해 아동이 안전하게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