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부지 복합개발 사전협상 착수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부지에 업무·상업·주거·문화시설 등이 결합된 미래융합교류거점을 조성하는 입체복합개발이 본격 추진된다.
서울시는 민간사업자가 제안한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부지의 대규모 복합개발 사업에 대한 본격적인 사전협상에 착수한다고 26일 밝혔다. 사전협상에는 ㈜신세계센트럴과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 참여한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등장한 국가 대표 교통 요충지로, ‘아침은 서울·점심은 부산’이라는 표현을 탄생시킨 상징적 시설이다. 2000년대 센트럴시티 복합개발 이후에는 업무·숙박·상업·문화 기능이 결합되며 강남권 일상과 소비 트렌드를 이끌어왔다.
그러나 약 50년에 이르는 노후화, 부지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광범위한 지상 주차장, 고속버스 진출입으로 인한 만성적 교통체증과 대기오염, 고속터미널역(3·7·9호선)과의 비효율적 동선 등이 복합적으로 누적돼 전면적 개선 요구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민간사업자가 제출한 개발계획(안)에 따르면 경부·영동·호남선 고속버스터미널을 지하로 통합·현대화하고, 지상부에는 ▲업무 ▲판매 ▲숙박 ▲문화 ▲주거 기능을 결합한 초대형 입체복합단지를 조성한다.
특히 공공기여 방식으로 고속버스 지하 직결차로를 설치해 지상 교통량을 줄이고, 주변 도로를 입체화·지하화해 교통체계를 혁신적으로 개선한다는 방안이 포함됐다. 또한 한강과 연결되는 입체보행교 조성을 통해 보행 접근성을 크게 높이는 방안도 제시됐다.
서울시는 해당 계획안에 대해 ▲광역교통개선대책 ▲지역 필요생활시설 확충 ▲지역균형발전 전략 등을 중심으로 공공성 검토를 진행할 예정이다. 사전협상 과정에는 공공·민간·전문가가 함께 참여해 구체적인 개발안을 마련하게 된다.
사전협상이 완료되면 민간사업자는 도시관리계획 입안과 건축 인허가 등 법적 절차를 본격적으로 밟게 된다.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개발은 단순한 재건축을 넘어, 한정된 도심 공간을 입체적으로 재편하는 서울 도시공간 패러다임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국제교류복합지구, 강남 도심(GBD), 여의도(YBD), 용산 국제업무지구를 연결하는 글로벌 핵심거점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