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의료비 대비에 쓰겠다”… 40~50대, 유동화 제도 공감 가장 높아
한화생명, KMAC 통해 30대 이상 1019명 대상 조사
사망보험금 유동화 제도에 대한 소비자 조사에서 40~50대를 중심으로 은퇴 자금과 의료·간병비 대비에 활용하려는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신보험이 가진 생전 활용 한계가 중장년층의 관심을 끌어낸 것으로 분석된다.
24일 한화생명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KMAC이 9월 25일부터 29일까지 전국 30세 이상 성인 1019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응답자들은 사망보험금 유동화가 가장 도움이 될 상황으로 은퇴 후 생활비 보완을 37.0%로 가장 많이 꼽았다. 중대질병 의료비가 24.4%, 간병비가 23.3%였다. 생애 후반부에 집중되는 비용을 대비하기 위한 수요가 뚜렷하게 확인됐다.
종신보험에 대한 불만도는 높은 편이었다. 응답자 49.4%는 ‘당장 받는 혜택 부재’를 종신보험의 가장 큰 한계로 꼽았다.
‘보험금 가치 하락’이 23.3%, ‘활용 경직성’이 21.1%였다. 종신보험이 가족 보장의 기능을 갖고 있으나, 높은 보험료와 비유동성 자산이라는 점이 생애 재무 설계에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특히 40~50대 기혼 유자녀층에서 유동화 제도에 대한 실수요가 가장 컸다.
이들은 은퇴 준비와 자녀 양육 비용이 동시에 필요한 세대로, 생전 활용 기능이 강화된 종신보험의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은퇴비 보완 필요성은 40대 41.0%, 50대 44.9%였다.
한화생명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망보험금 유동화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사망보험금 유동화는 종신보험을 ‘사후 보장’에서 ‘생전 자산’으로 확장하는 기능”이라며 “고객의 생애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서비스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