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원이 “전남 미래, ‘에너지 고속도로’와 RE100 산단에 달렸다”
22일 켄텍서 ‘전남 대전환’ 특강...균형 발전 로드맵 제시 서남권 ‘재생에너지·데이터센터’, 동부권 ‘철강·석유화학 고도화’
(핀포인트뉴스=나주)오해준 기자=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위원장이 전남의 생존 전략으로 ‘에너지 고속도로’ 구축과 이를 기반으로 한 전남 동·서부권의 산업 대전환을 제시했다.
김 위원장은 22일 오후 전남 나주시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켄텍) 대강당에서 열린 특강에서 ‘대한민국의 대전환과 전남의 산업 대전환’을 주제로 강연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김 위원장은 세계적인 흐름이 ‘산업 대전환(AI·반도체)’과 ‘기후위기에 따른 에너지 대전환’으로 급변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전남이 보유한 풍부한 재생에너지 잠재력이 지역 소멸을 막고 경제를 도약시킬 핵심 열쇠라고 역설했다.
◇ “재생에너지, 전남의 ‘전가의 보도’…RE100 산단으로 기업 유치”
김 위원장은 이재명 정부의 국정 과제인 ‘에너지 고속도로’ 개념을 설명하며, 서해안과 남해안의 풍부한 재생에너지를 수도권과 영남권 산업단지로 연결하는 U자형 전력망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그는 “전남은 해상풍력, 태양광 등 막대한 재생에너지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이 전력을 단순히 수도권으로 보내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전남 지역에 ‘RE100 전용 국가산단’을 조성해 글로벌 기업을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해남군이 유치한 ‘솔라시도 데이터센터’(SK·오픈AI 등 참여)와 ‘국가 슈퍼컴퓨팅 센터’(삼성SDS 컨소시엄)를 성공 사례로 들며,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서남권(목포·해남·신안·영암)은 데이터센터와 RE100 산단을 중심으로 AI 벤처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동부권 ‘철강·석유화학’ 위기, 수소 환원·고도화로 돌파
여수·순천·광양을 중심으로 한 전남 동부권의 전통 산업 위기에 대한 진단과 해법도 내놨다.
김 위원장은 “중국의 저가 공세와 글로벌 탄소 규제로 인해 전남 경제의 버팀목이었던 철강과 석유화학 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포스코 광양제철소의 탄소 배출 문제를 거론하며, 서남권에서 생산된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수소 환원 제철’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국회 산자위 간사로서 자신이 발의한 ‘철강산업 지원 특별법’과 주철현 의원이 발의한 ‘석유화학산업 지원 특별법’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며, “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특위)를 설치하고, R&D 및 정의로운 전환을 지원해 기존 산업을 고도화·첨단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분산에너지법·차등요금제 활용해 청년 유출 막겠다”
김 위원장은 전남의 인구 소멸, 특히 3040 세대의 유출 원인을 ‘양질의 일자리 부족’으로 꼽으며, 베스타스(Vestas) 등 글로벌 풍력 터빈 기업의 목포 신항 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 중인 상황도 공유했다.
그는 “전남 전역이 분산에너지 특구로 지정된 만큼, 지역별 차등 요금제를 통해 전남으로 이전하는 기업들에게 저렴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됐다”며 “재생에너지 생산지인 전남이 그 혜택을 직접 누리고, 이를 통해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 청년들이 돌아오는 전남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김 위원장은 “서남권의 재생에너지가 동부권의 산업단지를 돌리는 동력이 되어, 전남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경제 공동체로 거듭나야 한다”며 “이를 위해 현재 국회 계류 중인 ‘재생에너지 자립도시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RE100 산단법)’ 통과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