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캐피탈 72%, 증시 불장에도 투자금 회수 더 어려워졌다"

대한상의·벤처캐피탈협회 조사…63%는 "투자재원 조달 어려워져" 기술특례상장 개선 및 산업-금융 공동GP 허용 등 정책제안

2025-11-20     홍지현 기자
대한상공회의소 건물 전경. 사진= 대한상의.

벤처캐피탈 회사들은 코스피 활황세에도 불구하고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한국벤처캐피탈협회와 함께 113개 벤처캐피탈 회사를 대상으로 '벤처캐피탈 투자 애로요인 및 정책과제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 중 62.8%가 "최근 1년간 투자재원 조달이 과거보다 어려워졌다"고 답했다.

투자금 회수 역시 "과거보다 어려워졌다"는 응답이 71.7%에 달했다.

이는 최근 코스닥 및 기업공개(IPO)·인수합병(M&A) 시장 부진 등 영향이 크다고 대한상의는 풀이했다.

응답 기업들은 자금 조달의 어려움을 주로 정책금융을 통해 해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2년간 "모태펀드·성장금융·산업은행 등 정책금융 출자를 받은 경험이 있다"는 답이 전체의 75.2%에 달했다.

다만 정책금융 출자를 받은 회사의 대다수(91.8%)가 "민간자금 매칭에 어려움을 겪었다"고 응답해, 정책금융의 출자를 받는다 해도 민간자금 조달 문제로 펀드결성이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정책펀드 출자는 정책금융이 최대 60%까지 부담하고 나머지 40%는 벤처캐피탈이 민간에서 투자재원을 확보하는 구조로 알려졌다.

응답 기업들은 벤처투자 확대 방안(복수응답)으로 '기술특례상장 등 상장요건 개선'(69.0%)과 '세컨더리 펀드 활성화'(68.1%)를 가장 많이 꼽았다.

기술특례상장의 경우 구체적인 심사 지표가 비공개되고 기준이 불명확하다는 지적이 많아, 평가 기준과 심사 과정의 예측 가능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세컨더리 펀드는 기존 벤처펀드의 투자 지분(구주)을 인수해 투자금을 조기 회수시켜주는 후속 펀드다.

다음으로 '산업-금융자본 공동 GP(펀드운용사) 허용'에 동의하는 의견도 61.6%에 달했다.

현행법상 신기술금융사업자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일반 지주사가 벤처캐피탈과 함께 GP 역할을 수행할 수 없으나, 이를 허용하면 산업 자본의 선구안과 금융 자본의 투자 운용 역량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견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투자의 수도권 쏠림 현상도 지적됐다.

응답 기업의 80.5%가 벤처투자 대상이 '수도권에 집중'(34.5%)되거나 '수도권 비중이 다수'(46.0%)라고 답했으며, '비수도권 투자 비중이 높다'는 답변은 10.7%에 불과했다.

비수도권 투자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 과제로는 '모태펀드 내 권역별 펀드 신설'(25.7%), '지방 스타트업 클러스터 확대'(23.9%), '지자체 직접 출자 확대'(23.0%) 등을 제안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주식시장의 열기가 벤처투자업계에는 아직 못 미치는 상태"라며 "글로벌 첨단산업 경쟁에서 이기려면 금산분리와 상장요건 등 규제를 기업 및 투자 친화적으로 개선해 코스피와 코스닥, 비상장기업까지 투자의 파이를 골고루 키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