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헌 SKT CEO, 취임 첫 행보는 'AI 서밋'…"AI DC 종합 사업자로 도약"
“통신 인프라 강점 기반으로 ‘에지 AI’·‘AI-RAN’ 생태계 확대”
정재헌 SK텔레콤 신임 최고경영자(CEO)가 “글로벌 자본과 기술을 유치해 대한민국이 인공지능(AI) 인프라의 허브로 도약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 CEO는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SK텔레콤의 AI 인프라 전략을 설명하며 AI 데이터센터(DC)와 GPU 클라우드 구축을 통한 인프라 확장 계획을 제시했다. 취임 이후 첫 공식 일정에서 향후 그룹 차원의 AI 비전과 실행 전략을 직접 밝힌 것이다.
그는 “SK텔레콤은 AI 데이터센터 건설과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라우드 구축을 통해 AI 인프라 기반을 다졌다”며 “이런 역량을 바탕으로 AI 인프라의 본격적인 확장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정 CEO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건립 중인 울산 AI DC 용량을 총 1GW(기가와트) 이상으로 확대하고, 서남권에도 AI DC를 세워 국내 거점을 강화한 뒤 베트남·말레이시아·싱가포르 등 세계 시장으로 진출하겠다고 밝혔다.
반도체·에너지 등 SK그룹의 제조 역량 및 시설과 SK텔레콤의 AI 기술 인프라를 결합해 제조 현장의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이끌겠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제조 AI 전용의 디지털 트윈 솔루션과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을 현재 개발하고 있다”며 “엔비디아와 함께 RTX 프로 GPU 2000대를 기반으로 제조 AI 특화 클라우드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통신사의 고유 역량을 기반으로 한 AI 기술 확장 방향도 제시했다.
정 CEO는 “AI 서비스가 늘어남에 따라 통신사가 확보해온 네트워크 인프라가 재조명받고 있다”며 “전국에 연결된 통신 인프라를 활용해 AI DC와 온디바이스 AI 사이의 간극을 메꿀 수 있는 ‘에지 AI’와 AI가 적용된 지능형 통신망 기술 ‘AI-RAN’은 통신사만이 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인프라 사업의 핵심 경쟁력은 비용의 효율성과 구축의 신속성에 달려 있다”며 “인랙(in-rack)과 에너지솔루션 등은 그룹 멤버사와 협력해 구현하고 아웃랙(out-rack)과 클러스팅 서비스는 직접 개발해 내재화를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SK텔레콤은 향후 설계·구축·운영 등 AI DC 프로젝트 전체를 총괄하는 ‘AI DC 종합 사업자’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빠른 구축과 비용 효율성을 갖춘 AI DC 솔루션 패키지를 제품화할 방침이다.
한편 지난달 30일 취임한 정 CEO는 이날부터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그는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와 대법원 법원행정처 전산정보국장을 지낸 법조인 출신으로, 2020년 SK텔레콤 법무그룹장으로 합류했다. 이후 SK스퀘어 투자지원센터장, SKT 대외협력 사장 등을 거치며 그룹 내 거버넌스와 대외 전략을 담당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