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hc 이어 교촌도 '자율가격제' 도입…치킨업계, 가격담합 확산되나

인근 매장 간 가격 담합 현실화 "지역별 가격 차 부담 소비자에 전가"

2025-09-02     구변경 기자
사진=교촌에프앤비

교촌치킨이 가맹점주들이 자율적으로 치킨 가격을 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율가격제'를 도입했다. 업계 1위 bhc에 이어 교촌치킨까지 자율가격제에 동참하면서 가맹점끼리 가격담합이 확산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2일 치킨 업계에 따르면 교촌치킨 일부 가맹점주는 전날부터 배달의민족이나 쿠팡이츠 등 배달앱에서 판매되는 치킨 가격을 수천원 인상했다. 매장이나 교촌치킨 전용앱에서 판매되는 치킨 가격은 올리지 않았다. 통상 가맹점주들이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 등 배달앱 업체의 높은 수수료를 이유로 가격 인상을 요구하는 만큼, 대상에 제한을 둔 것으로 풀이된다.

가맹사업법상 가맹본사는 가맹점주에게 상품의 가격을 강제할 수 없다. 따라서 대다수 프랜차이즈는 가맹본사가 소비자 권장 판매가를 정하면 점주들이 이를 따르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앞서 bhc치킨도 지난 6월부터 점주가 배달 치킨 가격을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했다.

자담치킨은 치킨 브랜드 가운데 처음으로 지난 4월부터 이중가격제(배달가격제)를 도입해 배달 메뉴 가격을 매장보다 2000원 비싸게 받고 있다.

맥도날드와 롯데리아, 버거킹, 맘스터치, KFC 등도 배달비 등을 감안해 배달 메뉴 가격을 더 비싸게 책정하고 있다.

실제 자율가격제를 먼저 도입한 bhc 가맹점 사이에선 이미 가격담합이 현실화하고 있다.

서울 마포구 서교동에서 매장을 운영 중인 bhc 가맹점주는 "물대비(유통과정 중 여러 단계를 거치며 발생하는 영업 수수료)등을 제외하면 너무 안남아서 타 지점들과 찬반투표로 (배달비) 3000원 인상으로 가닥 잡았더니 (본사에서) 핀셋으로 몇몇 가게를 불러서 2000원으로 통일하라고 해서 다같이 내렸다"고 말했다.

업계에선 잇단 자율가격제 도입으로 시장의 공정 경쟁도 기대하는 한편, 오른 치킨 가격에 소비자 부담만 가중될 것으로 보고 있다.

프랜차이즈업계 한 관계자는 "인근 매장 간 가격이 유사해질 경우 소비자 입장에서는 담합으로 느낄 수 있고, 지역별로 가격 차별이 생겨 그 부담이 소비자에게 전가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며 "본사가 '자율'이라는 명분 뒤에 사실상 책임을 회피하는 방식으로 비쳐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도가 꼼수처럼 보이지 않으려면 가맹본부의 책임있는 구체적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