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궁 의존도 낮췄는데"…7월 면세점 매출액 '최저'
작년 7월보다 8.6% 줄어 소비 패턴 변화에 면세점 방문 안해
면세점 업황에 암운이 걷히지 않고 있다. '다이궁'(중국인 보따리상) 의존도를 크게 낮추고 원·달러 환율이 높은 수준을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7월 면세점 매출액은 최저 수준을 보였다.
1일 한국면세점협회와 업계에 따르면 지난 7월 면세점 매출액은 9199억4652만원으로, 작년 7월 1조65억268만원보다 8.6% 줄었다.
같은 기간 구매 인원이 236만3113명에서 258만339명으로 9.2% 증가한 것과 상반된다.
이에 따라 매출액을 구매 인원수로 나눈 1인당 면세 구매액은 42만6000원에서 35만6000원으로 16.4% 감소했다.
'다이궁' 매출 비중이 높았던 2021년만 해도 263만4000원에 이르던 1인당 면세 구매액은 2022년 164만5000원, 2023년 62만3000원, 작년 50만원으로 급감했다. 올해 1∼7월 1인당 면세 구매액은 43만4000원이다.
최근 외국인 관광객이 크게 늘며 객수 자체는 늘었으나 구매액은 지속해 감소 추세다. 지난 7월 한국을 찾은 외국인 관광객은 작년 동기보다 23.1% 늘었고 면세점에서 물품을 구매한 외국인 수도 관광객 수 증가폭과 비슷하게 25.1% 늘었다.
그러나 구매액은 오히려 14.2% 감소했다.
업계는 7월이 휴가철과 겹친 면세점 성수기임에도 불구, 부진한 배경으로 소비 패턴 변화를 지목한다. 과거 단체관광객이 몰려오던 시기와는 달리 이제는 개별관광객 시대가 열리며 면세점보다 올리브영, 무신사 등을 찾는 트렌드가 새롭게 형성된 데 따른 것이다.
실제 신라·신세계면세점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1%, 22.9% 증가한 8502억 원, 8051억 원을 기록했다. 그러나 각 사의 영업손실은 113억 원, 15억 원으로 모두 적자로 돌아섰다.
업계 한 관계자는 "내달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이 시작되는 것을 계기로 콘텐츠와 마케팅을 강화해 전환점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면세업계는 업황 부진을 벗어나기 위한 '승부수'로 명품을 비롯한 프리미엄 상품 강화에 힘을 쏟고 있다.
신세계 면세점은 세계적인 니치 퍼퓸 브랜드 푸에기아 1833과 BDK퍼퓸 매장을 시내 면세점 중에선 처음 선보였다. 또한 국내 시내면세점 최초로 '프라다 뷰티' 매장 문을 열었다.
롯데면세점은 시계·주얼리 카테고리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롯데면세점에 따르면 최근 명품 시계와 주얼리 수요가 늘면서 최근 3개월간 매출이 직전 같은 기간 대비 약 25% 증가했다. 쇼메, 프레드, 메시카, 포멜라토 등 단독 브랜드의 3개월간 매출 역시 직전 같은 기간 대비 평균 30%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롯데면세점은 이러한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 이탈리아 하이주얼리 메종 다미아니 명동본점 매장을 리뉴얼 오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