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 식품업계, 대선 이후 내수 진작 '기대'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에도 반등세 산불과 美 관세 조치 영향도 '미미'

2025-05-07     구변경 기자
서울 동작구 노량진수산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소비자 물가가 2개월 연속으로 2%대 오름세를 이어갔다. (사진=연합뉴스)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되면서 식품업계도 소비 진작을 기대하는 분위기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탄핵정국 속에서 움츠려있던 소비심리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말 계엄 사태 이후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88.2로, 전월 100.7 대비 큰 폭으로 하락했다. 올해 들어서도 1월 91.2, 2월 95.2, 3월 93.4로 낙관적으로 보는 기준인 100 아래를 밑돌았다.

업계에서는 대선 이후 소비 심리가 회복되는 것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에도 시위와 집회가 장기화하는 2016년 말에는 주요 소비재 시장이 부진했으나, 2017년 대선 직후 가파른 반등을 보였다.

오린아 LS증권 연구원은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당시에도 소비심리는 5개월간 위축됐으나 탄핵 인용 이후 빠르게 반등한 바 있다"며 "이번에도 정치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단기 소비심리 회복 기대감이 존재하며 유통업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도 "새 정권에 들어서면 아무래도 경제에 초점을 맞출테고 이 같은 경기 활성화로 내수 진작에 도움되는 여러 정책들이 나올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또다른 관계자도 "비상계엄, 탄핵 등 국내 정세 불안에 따라 소비자의 지갑이 예전에 비해 닫혀있다고 느낀다"다면서도 "이러한 불안정함이 해소되는것 만으로도 소비심리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언급했다.

정부도 최근 물가가 대체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평가한다. 우려하던 산불과 미국 관세 조치가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은 덕이다.

정부에 따르면 산불로 인해 사과와 복숭아는 각각 재배 면적의 1.4%, 0.6% 정도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관세 영향 역시 아직은 미미하다. 정부는 오히려 환율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본다. 수입물가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데 아직 큰 변동이 없는 상황이다. 환율이 변동할 경우 수입물가에 즉각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지난해 12월 이후 주요 식품업체들은 고환율과 원재료 가격 압박, 인건비 부담 등을 이유로 제품 가격을 인상해 왔다. 아직 인상분이 1분기 실적에 반영되긴 어렵지만, 6월 대선을 전후해서 소비 심리까지 회복되면 올해 하반기에는 수익성 개선을 기대하기에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조상훈 연구위원 등 신한투자증권 기업분석부는 "대선 직후 소비자들은 정부 정책에 기대감을 가지며 소비를 늘리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내수 업종은 늘 성과를 보여왔다"며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 하에서 피난처로 내수 업종의 저력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