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유동화증권·CP 판매 당사자는 증권사…당사와 무관" 반박
홈플러스의 카드대금채권을 기초로 발행된 유동화증권(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 및 기업어음(CP)의 상환 불능 상태와 관련해 신영증권이 고소·고발을 고려하고 있다는 보도에 "ABSTB나 기업CP를 리테일 투자자에게 판매한 주체는 증권사들로 홈플러스는 해당 상품 판매와는 무관하다"고 10일 반박했다.
홈플러스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2024년 신용평가 시 전년 대비 주요 재무지표가 크게 개선되고 중장기 사업기반 구축이 완료됨에 따라 각종 사업지표 역시 개선되면서 향후 매출 및 영업수익성이 지속 개선될 것으로 기대돼 이번 신용평가에서 신용등급이 하락할 것이라고는 예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러나 2월 28일 공시된 신용평가 결과 예상과 달리 당사 신용등급이 하락함에 따라 단기자금 확보에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협력사와 임대점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긴급히 회생신청을 준비해 휴일이 끝나는 3월 4일 바로 신청하게 된 것"이라고 했다.
홈플러스는 "현재 주주사인 MBK 파트너스 인수 전인 테스코 시절부터 운전자본 용도로 약 6000억~7000억원 규모의 CP, 전자단기사채 및 ABSTB 등 단기자금 대출을 활용해 왔으며, 일상적으로 지속 발행해 왔다"며 "CP와 전자단기사채 및 ABSTB 발행은 수년간 매월 주기적으로 이뤄졌던 것으로 필요에 따라 갑자기 기획해서 발행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또한 홈플러스는 "ABSTB나 기업CP를 리테일 투자자에게 판매한 주체는 증권사들로 홈플러스는 해당 상품 판매와는 무관하다"고 역설했다.
홈플러스는 "신영증권은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수년 전부터 카드사로부터 당사 카드매입채권을 인수해 이를 기초자산으로 해 ABSTB를 발행해 왔으며, 금융기관에서 전량 인수해 간 것으로 알고 있었다"며 "당사는 하나증권이 신영증권으로부터 ABSTB를 인수해 리테일 창구에서 재판매했다는 사실도 알지 못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