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온스타일 원플랫폼, 중소 브랜드 성장 돕는 등용문으로 자리매김
CJ온스타일이 모바일과 TV를 연계한 ‘원플랫폼’ 전략을 통해 중소 브랜드의 등용문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있다. CJ온스타일은 지난해 신규 입점 브랜드 수가 2023년 대비 3배 증가했다고 22일 밝혔다.
2023년 240개였던 신규 브랜드 수는 지난해 약 800개로 확대됐으며, 이 중 93%가 중소·중견 기업으로 나타났다. 이는 CJ온스타일의 원플랫폼 전략이 중소 브랜드의 인지도 제고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CJ온스타일은 모바일에서 신진 브랜드를 발 빠르게 소싱해 가능성을 입증한 뒤 TV로 매출 규모와 인지도를 확장하는 ‘모바일 to TV’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채널별 타깃 고객과 구매 패턴에 맞춘 맞춤 솔루션을 제공한 덕에 뷰티, 패션, 리빙 등 주요 트렌드 상품군에서 신규 브랜드 라인업이 대폭 강화됐다.
대표적인 사례로 뷰티 브랜드 ‘브이티 코스메틱’은 지난해 원플랫폼 캠페인을 통해 입점 8개월 만에 CJ온스타일에서 54억원의 취급고를 기록했다. 브랜드 론칭 1년이 채 안 된 ‘톰 프로그램’ 역시 모바일 입점 후 원플랫폼 캠페인을 진행하며 4개월 만에 30억원의 취급고를 올리는 성과를 거뒀다.
패션 부문에서는 디자이너 잡화 브랜드 ‘렉켄’과 캐주얼 잡화 브랜드 ‘르무통’이, 리빙 부문에서는 특수 밀폐용기 ‘바퀜’과 음식물 처리기 ‘미닉스’가 주목받았다. 여행 부문에서는 ‘인스파이어 리조트’, 식품 부문에서는 레몬즙 브랜드 ‘홀베리’가 주요 성과를 보였다.
특히 리빙 브랜드 ‘바퀜’은 지난해 1월 모바일 라이브 <맘만하니>에서 첫 선을 보인 후 방송 1회만에 4억원의 판매고를 올렸다. 이후 TV 라이브 방송에서도 매진을 기록하며 지난해 CJ온스타일에서만 64억원의 취급고를 기록했다. 여행 부문의 ‘인스파이어 리조트’는 6월 원플랫폼 캠페인에서 단 7일 만에 약 1만9000개의 객실을 판매하며 압도적인 성과를 거뒀다.
CJ온스타일 관계자는 “모바일과 TV를 연계한 원플랫폼이 중소 브랜드의 경쟁력을 돋보이게 하는 하나의 성장 트랙으로 자리매김했다”며 “올해는 영상 콘텐츠 IP를 앞세운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협력사와 CJ온스타일의 동반성장 생태계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