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완도-동제주 HVDC 준공... 안정적 전력공급 기반 구축

200MW 전압형 완도-제주간 해저 전력케이블 98㎞ 연결 "공급예비율 30%로 확대... 연간 200억원 전력구입비 절감"

2024-12-06     손예지 기자
김동철 한전 사장이 6일 제주시 동제주변환소에서 열린 '완도-동제주 HVDC 건설사업 준공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한국전력

한국전력공사는 제주시 동제주변환소에서 '완도-동제주 HVDC 건설사업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내 최초 육지-제주 간 전압형 HVDC 건설사업의 성공적인 완수와 제주지역 전력망의 안정화를 기념하기 위해 진행됐다. 

제주도는 지리적 특성상 육지와 분리된 소규모 전력 계통이다. 하지만 관광산업 성장과 지역 개발에 따른 전력수요가 급증해 기존의 자체 발전 설비만으로는 안정적인 전력수급 유지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정부는 2010년 제5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1998년 해남-제주 HVDC, 2014년 진도-서제주 HVDC 이후 3번째 HVDC 건설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하게 됐다. 

한전은 2016년 12월 사업을 착수해 2023년 12월 해저케이블을 설치했다. 이후 올해 9월 변환설비 설치와 시험 완료 후 2개월간의 시운전을 통해 설비 안정성을 검증했고, 11월 29일 준공했다. 

한전 측은 "완도-동제주 HVDC 건설사업 준공으로 육지­제주간 안정적인 전력공급의 기반을 구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한전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완도-제주 간 해저 98㎞를 전력케이블로 연결한다. 이로써 육지에서 제주로의 전력공급 용량이 360MW(메가와트)에서 600MW로 확대되며 공급예비율은 14.3%에서 30.8%로 상승한다. 

한전 측은 "HVDC 전력공급 용량 확대로 제주도 내 비싼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구입량을 줄일 수 있어 연간 약 200억원의 전력구입비 절감이 기대된다"며 "전력계통 취약지역인 완도의 전력공급 선로를 환상망(여러 갈래로 공급이 가능하게 만든 우회로)으로 구축하게 돼 전력공급 신뢰도 또한 증가했다"고 말했다. 

김동철 사장은 "이번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대용량 HVDC 기술 국산화에 가속도를 내고 에너지신기술의 트랙레코드 확보를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며 "완도-동제주 간 HVDC가 제주도 전력망 안정화를 신속히 이끌고, 정부의 무탄소 에너지 확산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확신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