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용수공급 협약' 체결...인프라 구축 '속도'
LNG 발전소·송전선로 구축으로 전력 10GW 확보...공용망 비용은 한전이 부담하기로 하루 133t 이르는 용수 공급, 기존 산단 하수 재이용 등 통합복선관로 구축으로 해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필요한 전기·용수 등의 공급을 위해 정부·공공기관·기업이 함께 LNG발전소 건설 등 본격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인프라 구축 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는 기업 투자가 마무리되는 2053년까지 전체 10GW(기가와트) 이상의 전력공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선 용인 국가산단의 경우 1단계로 2030년 초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3GW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가 건설된다. 동서·남부·서부발전이 각각 1GW 규모의 발전소를 구축하고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2단계로는 호남 지역에서 용인 클러스터로 연결되는 장거리 송전선로가 건설되며, 3단계로 2044년 이후 추가로 필요한 전력량에 대해서는 향후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안을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용인 일반산단에는 1단계 2027년 팹(fab·반도체 생산공장) 가동을 위해 신안성변전소에서부터 동용인변전소로 연결되는 송전선로를 구축해 약 3GW 규모의 전력을 공급한다. 이후 2단계 추가 공급을 위해 동해안-용인 송전선로를 건설하고, 산단 내 변전소를 신설해 수요에 대응한다.
호남과 동해안으로부터 대규모 전력을 수송하는 공용망 송전선로의 비용은 한국전력이 부담한다.
앞서 한전은 수익자 부담 원칙에 따라 반도체 클러스터로 연결하는 전용 송전망 구축 비용은 기업들이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기업들은 막대한 전기요금에 송전망 구축 비용까지 부담할 수 없다며 맞섰다. 이후 한전 측이 비용을 대는 공용망을 늘리고, 기업이 부담하는 전용망은 최대한 줄이는 방식을 사용하자는 내용의 협상이 타결되며 갈등은 일단락됐다.
공용망-클러스터 간 송전선로 및 산단 내 변전소 건설에 대해서는 국가산단(1단계)·일반산단(1·2단계) 총사업비 2조4천억원 중 공공이 30%(약 7천억원), 민간이 70%(약 1조7천억원) 가량을 분담하기로 결정됐다.
또한 정부는 이날 최 부총리가 발표한 '반도체 생태계 지원 강화방안'을 통해 1조8천억원 규모의 송전선로 지중화 비용을 상당 부분 책임지고 분담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하루 사용량이 약 133만t(톤)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는 공업용수에 대해서는 기존 산단의 하수 재이용수 대체 공급 등을 활용하기로 했다. 수요량을 충족하기에는 현재 수도권 지역의 주요 수원인 충주댐과 소양강댐의 여유량이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정부와 한국수자원공사, 기업은 기존 산단의 하수 재이용수 대체 공급을 통해 물량을 확보하고, 발전용수 활용 등을 통해 대체 수원을 이용하는 등 통합용수공급 사업으로 부족한 수원에 대처할 방침이다. 통합용수공급 사업을 통해서는 하루 약 107만t의 용수 공급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인천광역시 인구 약 300만명이 하루에 사용하는 규모와 맞먹는 양이다.
또 국가산단과 인근 일반산단에 용수 공급을 위한 통합 복선 관로 구축도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이에 대해 각각 별도의 용수시설을 구축하는 것과 비교해 약 3천300억원 규모의 비용 절감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며, 관로 사고 등 비상시에도 차질 없이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돼 용수공급의 안정성이 강화된다고 설명했다.
통합용수공급 사업은 지난 10월 예비타당성조사를 면제받았다.
산업부는 내년 기본·실시설계 용역 등 후속 절차를 신속히 진행해 2031년부터 적기 용수 공급이 가능하도록 사업에 속도를 낼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반도체 클러스터 관련 인프라를 신속히 조성해 2027년부터 가동 예정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의 원활한 운영을 뒷받침하고 600조원 이상 투자가 예정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대한 민간 투자가 가속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