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살에 정점 찍은 노동소득, 61살부터는 다시 '적자'로 들어선다
통계청, 연령별 소비-노동소득 관계 담은 '2022년 국민이전계정' 발표 2022년 대한민국 국민총소비 1464조1000억원...전년 대비 9.9% 증가 생애주기 중 17세, '4천만원'으로 최대 적자...43살에 1750만원 흑자
개인의 노동소득이 43살에 정점에 오르고, 이후 점차 줄어들어 61살부터는 다시 적자로 전환된다는 통계가 발표됐다.
통계청은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국민이전계정'을 발표했다. 국민이전계정이란 소비와 노동소득 간의 관계를 연령 변화에 초점을 두고 연령집단(세대)간 경제적 자원의 흐름을 파악하는 통계다.
2022년 기준 우리나라 국민 총소비는 1364조1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9.9% 증가한 수치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공공소비는 8.4% 늘었고 민간소비는 10.6% 증가했다. 공공소비 중에서는 공공보건소비(8.6%)가, 민간소비에서는 민간교육소비(12.2%)가 증가율이 높았다.
노동소득은 1년 전보다 6.3% 증가한 1168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소비에서 노동소득을 차감한 생애주기 적자는 전년보다 53조7000억원 늘은 195조4000억원으로 나타났다. 노동소득보다 소비가 급격히 늘면서 적자 규모가 커진 것이다.
연령계층별로 살펴보면 유년층(0∼14세)과 노년층(65세 이상)은 각각 176조8천억원, 162조5천억원 적자로 나타났다. 반면 노동연령층(15~64세)은 143조9천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국민 1인당 생애주기 역시 이처럼 적자에서 흑자로, 다시 적자로 전환되는 구조를 띄고 있다. 소득이 없거나 적은 0~27세까지는 적자였다가 28세에 흑자로 진입하게 되고, 노동소득을 유지할 수 있는 60살까지 흑자가 계속되다가 61세에 다시 적자가 되는 것이다.
1인당 소비는 17살에 4113만으로 가장 많았다. 1인당 노동소득은 17부터 점차 늘어 43세에 4290만원으로 정점을 찍은 후 다시 내려간다.
따라서 1인당 생애주기적자가 가장 큰 나이는 17살로, 4078만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흑자 폭이 가장 넓은 나이는 43살, 1753만원이다.
흑자 진입 연령은 2010년 이후 27∼28세로 일정한 편이다. 반면 적자 재진입 연령은 56세(2010년)에서 61세(2022년)로 점차 늦춰지고 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통계청은 은퇴가 늦어지고 은퇴 후에도 계속 일을 하는 노년층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생애주기별로 발생한 적자는 가구 내 이전, 정부의 공공 이전 등을 통해 메워진다. 흑자 발생 연령에서 적자 연령대로 유입되는 구조다. 2022년 노동 연령층에서 순유출된 298조1천억원이 유년층과 노년층으로 각각 177조4천억원, 118조원 순이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