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 사장, 전력망 확충 '올인'...특별법 연내 국회 통과 내부 역량 결집
한전 역량 결집 전사 다짐대회 열고 "전력망 확충에 사활 걸어야" 강조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18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전력망 확충 역량결집 전사 다짐대회'를 열고 전력망 적기 확충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날 대회는 오는 21일과 26일 이틀간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안 소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법안 심사 소위를 앞두고 이뤄졌다.
전력망 확충 특별법안의 경우 이번 22대 국회에서 10건이 다시 발의돼 본격적인 심사를 앞두고 있다. 지난 21대 국회에서서 관련 법안들이 다수 발의됐으나 여야간 이견으로 끝내 모두 폐기됐다.
김동철 사장은 국회에서 올해 안에 송전망 확충 입법을 마무리하기 위해선 이번 상임위 심사가 중요하다고 보고 내부 역량 결집에 나선 것이다.
이날 다짐대회는 전력망 확충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사업실행 의지를 알리기 위해 진행됐다. 행사에는 김동철 사장 외에 전 경영진, 본사 처·실장, 건설본부장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김동철 사장은 이날 대회에서 "전력망 적기 확충은 한전 본연 업무인 '안정적 전력공급'의 핵심이고, 반도체·인공지능 등 국가 미래 첨단산업을 뒷받침하는 필수 국가과제"라며 "회사의 모든 자원과 역량을 총동원해 미래전력망 확충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전선로 확충은 시급한 국가 과제로 꼽혔으나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10년 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전력업계 등에선 전력수요가 점차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송전망 확충이 제때 이뤄지지 못할 경우 대정전(블랙아웃)을 부르고 반도체 등 국가 주력 산업 발전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제기 잇따랐다.
여야는 이번 국회에서 전력망 구축 필요성에 대해 당적을 떠나 공감대를 형성, 양 진영에서 모두 관련 법안들을 재발의했다.
현재 국회 계류된 특별 법안들은 전력망 건설의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해 관련 보상을 강화하고, 정부 차원의 개입으로 각종 인허가 절차에 속도를 높이는 방안들을 담고 있다.
여야는 이들 특별법안에서 세부적인 내용에 일부 차이를 보이면서도 큰 틀에서는 대부분 의견일치를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한전은 56조5000억원 규모의 '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을 수립하고 2036년까지 송전선로와 변전소를 각각 60%와 40%를 늘리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그러나 지역주민과 지방자치단체의 전력 설비에 대한 수용성 저하 등으로 건설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한전은 지난 11일 ▲ 미래 전력수요에 대비한 선제적 전력망 확충 ▲ 국가기간망 신속 건설 위한 전담조직 신설 추진 ▲ 전사 역량 결집 위한 '전력계통위원회' 신설 ▲ 지자체 및 지역주민 소통 강화로 전력망 확충 이해기반 확대 ▲ 국민 눈높이에 맞는 보상·지원책 마련 등 전력망 적기확충을 위한 5대 핵심 아젠다를 도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