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1.3%...3년9개월만 최저치

두 달 연속 1%대로 둔화...석유류 물가 하락 영향 커

2024-11-05     손예지 기자
한 마트에서 시민틀이 생필품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3%를 기록하면서 3년 9개월 만에 최저치를 나타냈다.

상승률 둔화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 큰 폭으로 떨어진 석유류 물가였다. 다만 채소류 물가 상승률은 10%대에 오르며 김장철을 앞두고 여전히 불안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10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4.69(2020년=100)다. 이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3% 상승한 것이고, 2021년 1월(0.9%) 이후 3년9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4월(2.9%) 3% 아래로 내려온 뒤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부터는 1%에 진입하며 두 달 연속 둔화 흐름을 이어가는 중이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석유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9% 가격이 낮아지면서 전체 물가 하락에 0.46%p 영향을 줬다. 

채소류 물가는 15.6% 오르며 전체 물가 상승률을 0.25%포인트(p) 끌어올렸다. 

구체적으로 배추(51.5%), 무(52.1%), 상추(49.3%) 등 품목의 가격 상승이 두드려졌지만, 사과 가격은 지난해에 비해 20% 떨어졌다. 

'밥상 물가'와 관련된 신선식품 지수는 1.6%, '장바구니 물가'와 연관이 있는 생활물가 지수 상승률은 1.2%를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1.8%를 기록해 전월보다 0.2%p 낮아진 추세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