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과일 재배지 북상…비싼 가격은 단점
수입산 대비 신선도 강점 대형마트도 국산 열대 과일 선봬
한반도 기후 온난화로 열대과일 재배지가 제주에서 내륙 남부지역으로 북상했다. 국산 열대과일은 수입산 대비 신선도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지만, 가격이 비싸고 생산량이 적다는 게 한계로 지적된다.
4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대형마트들도 전북 고창 유기농 바나나 등 국산 열대 과일을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이마트는 올해 전북 고창에서 재배한 유기농 바나나를 점포별로 소량씩 선보여 2만7000여팩을 판매했다.
이마트는 에콰도르산 바나나 한 송이(1㎏)를 현재 약 2000원에 할인 판매하지만 고창 유기농 바나나는 1팩(3∼4개)당 약 6000원으로 4000원 정도 비싸다.
하지만 국산 유기농 바나나인 만큼 어린아이를 키우는 가족 단위 쇼핑객에게 꾸준히 인기라는 게 마트 측 설명이다.
이마트는 제주산 망고도 과일 선물 세트 등에 포함해 판매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8월 제주산 패션프루트(백향과)를 선보여 준비한 물량 3500팩을 모두 소진했다. 내년에는 내륙 공급이 더 용이한 전남 지역에서 재배된 패션프루트로 확대할 계획이다.
롯데마트도 지난 7∼8월 제주산 망고와 패션프루트, 용과 판매에 나섰다.
롯데마트는 국산 열대과일 생산 면적이 늘어나 고객의 '과일 쇼핑 선택지 확대'를 위해 국산 제품을 선보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작년 기준 아열대과수를 재배하는 국내 농가는 4741호로 집계됐다. 재배지 2206㏊(헥타르·1㏊는 1만㎡)에서 생산된 아열대과수는 약 4만3000톤(t)이다.
키위를 재배하는 농가가 2015호로 가장 많고, 무화과(1777), 석류(240), 망고(228), 비파(161), 패션프루트(136), 바나나(56), 파파야(48), 구아바(28), 용과(25), 올리브(15), 파인애플(12) 순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