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소주·라면 안팔리네…불황 상품 매출 둔화
건강 챙기는 소비 트렌드 영향
불황의 대표적 상품으로 꼽히는 편의점 소주와 라면 등 인기가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편의점업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소주 매출의 작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GS25 7.3%, CU 9.2%, 세븐일레븐 15.0% 등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기간인 2020∼2022년 편의점 소주 매출 증가율이 연간 20%대에서 최대 40%까지 치솟았던 것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낮아진 수치다.
라면도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올해 1∼8월 라면 매출 증가율은 GS25 16.8%, CU 10.7%, 세븐일레븐 10.0% 등이다. 지난해 라면 매출 증가율은 GS25 30.3%, CU 23.7%, 세븐일레븐 30.0% 등으로 20∼30%대로 올해보다 높았다.
불황 대표 상품 중 하나로 꼽히는 담배도 마찬가지다.
이마트24에서 담배 매출 증가율은 지난 2022년 10.0%에서 지난해 6.0%, 올해 1∼8월 4.0% 등으로 낮아지는 추세다.
CU 전체 매출에서 담배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8년 41.0%에서 지난해 37.3%로 낮아지고서 올해 상반기 37.5%로 집계됐다.
흡연 인구 감소로 편의점 담배 매출 비중은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추세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흡연율은 1998년 35.1%, 2008년 27.8%에서 꾸준히 내리막길을 걸어 2022년 17.7%로 줄었다.
본래 불황기가 도래하면 소주와 담배는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고 라면은 최소의 비용으로 끼니를 해결할 수 있어 효자상품으로 단연 인기였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을 거치며 건강을 중시하고 경제적 어려움으로 결혼과 출산은 물론 연애까지 포기하는 '삼포족'(三抛族)이 늘면서 소비 경향도 달라졌다고 업계는 분석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고물가 시대에 소비 양극화와 라이프 스타일 변화로 소주·라면·담배 등 특정 품목보다는 저렴하면서 가성비 높은 상품에 수요가 몰리는 추세"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