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국감 이슈] ‘전기 먹는 하마‘ 데이터센터...전력수급 대책은?

2029년까지 신규 데이터센터 732개 지어질듯...전력수요도 25배 급증 전망 전력수급기본계획 재검토·HVDC 설치 등 안정적 전력공급망 확보 중점 둬야

2024-08-27     손예지 기자
경기 안산시 한양대 에리카캠퍼스 내에 위치한 카카오 데이터센터 서버실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올해 국정감사가 오는 107일부터 25일까지 열린다. 국감은 국회의원에겐 한 해의 농사라 불린다. 국회의원 의정활동의 하이라이트이자 국회의원이 일약 정치스타로 발돋움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국감을 받는 정부 부처나 공공기관으로선 곤혹스러운 때다. 부처나 기관의 문제점이 낱낱이 드러나 여론의 도마에 오를 수 있어서다. 다만 외부의 눈으로 정책과 사업을 되돌아볼 수 있는 중요 계기로 삼을 수 있다.

올해 국감은 22대 국회 첫 국감이다. 올해 국감을 맞이 하는 국회의원들의 각오는 그 어느 때보다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가 새롭게 구성이 돼 처음 원내에 입성했거나 상임위를 새로 맡아서다.

올해 국감에선 국회의원의 창과 기관의 방패 간 대결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 국감에 대비하는 국회의원실이나 피감기관들의 움직임도 질의자료 또는 답변자료 작성 등으로 분주하다.

이에 온라인 종합 경제매체 핀포인트뉴스는 국회 입법조사처가 최근 공개한 ‘2024 국감 이슈 분석을 바탕으로 국감 시작 때까지 국회 상임위원회별 주요 이슈들을 시리즈로 짚어본다. [편집자 주]

 

4차 산업 발전에 따라 전력수요가 높은 데이터센터들이 속속 건설되며 전력수급 대책에도 비상이 걸렸다. 관련 전문가들은 무엇보다도 안정적인 전력공급망 확충이 중요하다고 분석했다.
국회 입법조사처는지난 5월 발행한 ’2024 국정감사 이슈 분석‘ 보고서를 통해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관 주요 이슈의 하나로 데이터센터 증가에 따른 전력수급대책을 꼽았다.  

◇ AI 산업 커지면서 데이터센터 수요도 급증...문제는 전력 수급

챗 지피티(Chat GPT)와 같은 인공지능(AI) 산업이 커지면서 신규 데이터센터 건축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으로 150곳의 데이터센터가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늘어나는 데이터센터 수요에 따라 2029년에는 732개의 신규 데이터센터들이 건설될 예정이다.

문제는 이러한 데이터센터들의 전력 수요량이 어마어마하다는 것이다.

최근 각광받는 AI는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많은 양의 전기를 사용한다.

평소 온라인 검색에 소모되는 전력이 평균 0.3Wh(와트시)라면, 챗 GPT와 같은 생성형 AI 모델(훈련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텍스트 등을 생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한 형태)의 경우에는 검색당 2.9Wh를 소모한다. 일반적인 검색 엔진 사용의 약 10배에 달하는 전력이 소모되는 셈이다. 이미지·영상 등을 생성하는 AI를 사용할 경우에는 여기서 40~60배의 전력을 더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AI 데이터 처리 등에 필요한 신규 데이터센터들이 700개 넘게 지어지면서 전력 수요도 같이 급증할 것으로 예측된다.

국회입법조사처 보고서에 따르면 2029년 건설 예정인 데이터센터의 총 전력수요량은 4만9371MW(메가와트)로, 현재 존재하는 데이터센터들의 총 전력수요량(1986MW)의 약 25배에 달한다. 데이터센터들이 완공된다면 1000MW급 원자력 발전소 49개 이상의 전력을 소비하게 될 예정이다.

수도권에 대부분의 데이터센터 수요가 편중돼 있는 점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산업통상자원부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 그리고 인천에 각각 65개, 413개, 123의 데이터센터가 지어질 예정이다. 신규 데이터센터의 82.1%가 수도권에 지어지는 셈이다. 수도권의 전력수요 역시 3만9802MW로 예측되며 전체의 80.5%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력수요가 많은 지역인 수도권에 데이터센터의 전력수요까지 더해지면서 전력 수급과 관련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전문가 “신기술 확산 영향을 고려한 전력수급 방안 마련해야”

전문가들은 폭증하는 전력수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전기본’)의 검토와 송전망 등 전력망 확충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국회 입법조사처에서 발행한 ’2024 국정감사 이슈 분석‘ 보고서는 지난 5월 말 발표된 전기본 초안에 대해 언급하며, 해당 실무안에는 2029년까지 큰 규모로 확증하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2029년까지 수도권 데이터센터의 전기공급 요청 물량이 3만9802MW에 달하는 만큼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함께 대응 방안이 제시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기사업법에서 전력수급 안정을 위해 산업통상부장관에게 전력수급기본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만큼, 11차 전기본 최종안에서는 신산업 발생에 따른 전력수요 및 설비 건설 계획의 적절성을 다시 한번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망 확충 역시 필수 과제이다.

국회 입법조사처 보고서는 “건설 계획 단계부터 해당 데이터센터에 전력 공급이 가능한 송배전망을 함께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설비 건설 단계에서 송배전망 등을 미리 확보하게 되면 데이터센터 운영에 필요한 대량의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보고서에는 내륙을 우회하는 초고압직류송선선(HVDC) 등을 지속적해 설치하고, 국도·고속도로·철도 등을 이용하자는 내용의 제안 역시 담겼다.

데이터센터나 송전망이 전자파 발생 우려 등으로 지역 주민들이 꺼리는 대표적인 ’님비시설(혐오시설)‘로 전락하면서, 해당 시설물들을 주민의 생활권과 먼 곳에 지어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쟁 등을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