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메프사태] 자율구조조정 승인됐지만 '난항' 예고
구 대표 '채권 주식 전환' vs 티메프 '독자 경영' 판매자, 일반 소비자, PG사까지 이해관계 얽혀
법원에서 티몬·위메프에 대한 자율 구조조정 지원(ARS) 프로그램이 승인됐지만 구영배 큐텐 대표와 티몬·위메프의 생존전략이 엇갈리며 난항이 예고된다. 구 대표는 채권 주식 전환을 고수하고 있는 반면, 티몬·위메프는 회사 매각을 추진하며 독자 경영을 모색하고 있기 때문이다.
6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법원은 지난 2일 티몬·위메프가 신청한 ARS 프로그램을 승인하고 다음 달 2일까지 강제적인 회생절차 개시를 보류한 상태다. 기간은 1개월 단위로 최대 3개월까지 연장할 수 있다. 회사 측과 채권자는 주어진 기간 안에 자율적인 협의를 거쳐 설득력 있는 자구안을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채권자 수가 11만명에 달하는 데다 판매자, 일반 소비자, 전자지급결제대행(PG)사 등 주채권자 사이에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협의가 원활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먼저 티몬·위메프의 모회사 큐텐 구 대표는 출자 전환에 목표를 두고 있다. 티몬·위메프를 이른바 가칭 'K-커머스' 쇼핑몰로 합병해야 각 사를 살려낼 수 있다는 주장이다. 구 대표는 티몬·위메프를 'K-커머스'로 합병하고 대금을 받지 못한 판매자의 채권 일부를 이 회사의 CB(전환사채)로 전환해 주주로 참여시킨다는 구상이다. 피해 판매자에게 대금 대신 합병 회사의 주식을 줄 테니 회사를 먼저 살리자는 것이다.
반면 류광진 티몬 대표와 류화현 위메프 대표가 각각의 회사를 큐텐에서 분리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과는 배치되는 행보다. 이에 대해 구 대표가 자신이 져야 할 법적 책임을 최소화하려는 꼼수라는 지적까지 법조계에서 나오고 있다.
티몬 류 대표는 법원의 심문 기일인 지난 2일 출석한 자리에서 "큐텐 그룹 차원의 지원을 기다리기보다 별개로 정상화 노력을 하겠다"며 "대형 투자사를 상대로 투자 유치와 매각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위메프 류 대표 역시 개인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매각을 타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판매사들의 상황도 복잡하다. 무엇보다 티몬·위메프로부터 돈을 받지 못한 셀러들이 무려 11만 명에 달해 합의를 이루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카드사와 전자지급결제대행(PG사)까지 포함돼 다수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상황이다.
한편 구 대표는 조만간 류광진 티몬 대표, 류화현 위메프 대표, 김동식 인터파크커머스 대표 등과 대면하기로 하고 일정을 조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 대표가 3사 대표와 한꺼번에 회동할지, 따로 만날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구 대표는 이들을 만나 이번 사태의 해결책 가운데 하나로 자신이 구상 중인 공공플랫폼 설립 방안을 상세히 설명하고 협조를 구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