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메프사태] 자구안 '펀드 조성·M&A' 전망…성과는 미지수 

中 위시 800억 담보로 대출 가능성 위메프·인터파크커머스도 매각 추진 사태 여파로 지분 가치 등 인정 어려울 듯

2024-08-02     구변경 기자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가 지난 1일 검찰의 자택 압수수색 협조를 위해 자택 문을 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티몬과 위메프(티메프)가 결국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한 가운데 모기업인 큐텐의 자구안 마련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일 법조·유통업계에 따르면 법원은 이날 티몬·위메프의 회생 개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심문을 한다. 티몬은 오후 3시, 위메프는 오후 3시 30분에 심문이 열린다. 류광진 티몬 대표이사, 류화현 위메프 대표이사가 직접 출석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법조계 안팎에서는 두 회사가 신청한 '자율 구조조정 지원'(ARS) 프로그램이 승인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왔다. ARS 프로그램은 기업과 채권자가 채권자 협의회를 구성해 변제 방안 등을 자유롭게 협의하는 제도다. 이렇게 되면 회생절차 개시 여부에 대한 결정은 일단 최장 3개월 동안 보류된다.

우선 현재 큐텐이 지난 2월 인수한 북미·유럽 전자상거래 플랫폼인'위시'가 중국에 보유한 현금성 자산 800억원가량을 티몬·위메프 사태 해결에 활용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큐텐 측은 이미 이달 중 위시를 통해 800억원을 조달하겠다는 계획도 금융당국에 제출한 상태다.

다만 구영배 큐텐그룹 대표는 지난달 30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출석해 "그룹이 동원할 수 있는 자금은 최대 800억원이지만 바로 정산자금으로 쓸 수 없다. 중국에 여러 규제가 있기 때문"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입점 판매자와 소비자의 피해 금액을 마련하기 위해 자체적인 자금 조달 노력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인수·합병(M&A)과 분리 매각 추진 등도 자구안 중 하나로 꼽힌다.

이와 관련 구 대표도 지난달 29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큐텐은 현재 그룹 차원에서 펀딩과 인수·합병을 추진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구 대표는 정무위에서 "이 사태를 해결할 유일한 방법은 티몬과 위메프를 합병하고 빠른 속도로 구조조정해 수익 구조를 만드는 것"이라고도 말했다.

실제 김동식 인터파크커머스 대표는 티메프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독자 경영을 위해 매각 작업에 나선 상태다.

위메프의 경우도 류화현 대표 주도로 적당한 인수자 물색에 나선 것으로 전해진다.

문제는 이 같은 자구안들이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이번 정산 지연 사태로 큐텐과 큐익스프레스의 기업 가치도 크게 떨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해당 지분을 매각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큐텐그룹도 티몬과 위메프와 같이 경영난을 겪고 있어 구 대표 보유 지분 가치는 담보로 인정받기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몬스터홀딩스(25.60%)와 원더홀딩스(18.00%) 등의 큐텐 2대주주도 추가 투자에 난색을 표한데다, 글로벌 투자시장에서 선뜻 투자에 나설 자본가를 물색하기도 현재로선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 업계에선 1조원대로 예상되는 미정산금을 보유한 티메프를 인수할 기업이 희박할 것이란 게 중론이다.

구 대표가 언급한 사재 출연 역시 난항이 예상된다. 구 대표는 현재 큐텐 지분 38.0%, 나스닥 상장을 추진 중이던 물류 자회사 큐익스프레스 지분 29.4% 등 비상장사 주식, 서울 반포자이 아파트, 통장에 가진 10억∼20억원 등이 전부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구 대표가 보유한 비상장사 큐텐 지분 가치는 계열사의 정상 영업과 큐익스프레스 나스닥 상장 추진 계획 등의 호재로 5000억원까지 가치평가를 받았었다"면서 "이번 사태 발생 여파로 미래 가치가 떨어져 가치 산정에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