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멋대로 코스트코, 또 다시 '상생' 거부...소상공인은 뒷전?
세종, 송도 이어 하남까지 개점 강행....소상공인 측 "더 이상 설 자리 없어"반발
코스트코 코리아가 골목상권 보호를 위한 정부의 상생안을 거부했다. 조정 협의 절차를 따르지 않고 돌연 하남점을 개점한 것이다.
관계자에 따르면, 코스트코 측은 상생협의는 계속하겠지만 영업 중단은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12일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10일 코스트코 하남점의 일부 품목과 수량을 내달 1일부터 3년간 축소하라고 권고했지만, 현재 코스트코 하남점이 이를 이행할 지는 미지수다.
코스트코가 개업을 강행한 적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4년 세종점, 2017년 인천 송도점 개업 당시에도 영업 일시 정지 권고를 받았으나 이를 무시한 채 운영했다.
하남시 소상공인들은 상생 '퇴짜'에 하남시 코스트코 입점 철회 촉구 집회를 이어오고 있다.
소상공인들이 하남 코스트코 개업에 반대하는 이유는 뭘까?
코스트코 하남점 입점저지 대책위 관계자는"하남시는 수도권 중도시인데 비해 대형유통사들이 지나치게 쏠리고 있다"며 "전통시장을 비롯해 대다수 중·소 상가들이 된서리를 맞고 있다"고 대답했다.
특히 "하남은 주거지역에 비해 상업지역이 과다하게 치중돼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매출이 급감해 하루하루를 연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6만 인구의 중도시에 5개의 대형마트가 들어서면서 골목상권이 무너졌다"고 말했다.
소상공인연합회 조사에 따르면, 인근 경기 성남시는 인구 95만명에 대형마트가 4개이며, 경기 광주시는 인구 36만명에 대형마트는 한 개 뿐이다. 이번 입점으로 영향을 받는 반경 3㎞ 이내 소매점만해도 1431개에 이른다.
단체는 “만약 이번 상생회의에서마저 합의에 실패한다면 하남 소상공인들은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 밖에 없다”면서 “코스트코는 물론 정부와 하남시 등이 상생에 보다 큰 관심을 가지고 서둘러 합의가 성사 될 수 있도록 노력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하남시 패션협회 측 자료에 따르면, 코스트코 매장에서 판매하는 의류의 대부분이 회원사들의 상품과 일치해 하루 매출이 급격하게 떨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코스트코가 하남에 개업을 추진한 데에 대한 입장은 어떤지 살펴봤다.
하남시소상공인단체 관계자는 "그동안의 만남은 코스트코 오픈을 위한 꼼수로 생각할 수밖에 없다"며 "코스트코 코리아는 중기부와 하남시가 중재한 지역 상생 회의해서 하남시 소상공인이 제안한 상생방안에 대해 모두 거절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3월 29일 하남 소상공인들의 1차 규탄대회 이후 코스트코와 소상공인들은 무려 4차례 만남과 2차례 회의를 진행했지만, 돌아온 상생안 성과는 아무것도 없었다"고 전했다.
실제로 코스트코 코리아는 2016년부터 하남점 입점을 위해 지역 소상공인들과 만남을 이어온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생 방안은 모두 불발된 것으로 드러났다.
코스트코에 가해지는 처벌이 상대적으로 미약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 다른 관계자는 "막상 코스트코는 5천만 원 과태료를 내면 끝이다"라며 "상생을 할 의지조차 없는 게 아니냐"며 불만을 토로했다.
실제로 코스트코는 지난 2014년 2017년 인천 송도점 개점시에도 영업일시정지 권고를 받았지만 이행하지 않고 오픈했다. 이때에도 정부는 코스코측에 징역형이 아닌 5천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한 게 전부였다.
그는 "만약 코스트코가 5천만원 내고 영업을 계속하겠다고 하면 더 이상 손 쓸 방법이 없다"며 "이미 코스트코는 영업 중단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입장을 굳힌 바 있다"고 전했다.
이어 "하남시 소상공인은 이제 더 이상 설 자리가 없다"며 그는 "생존권 마저도 위협받고 있는 와중애 지역 소상공인들과 함께 끝까지 싸울것"이라고 밝혔다.
차혜린 기자 chadori95@gmail.com